그나마 수출이 떠받쳤다

그나마 수출이 떠받쳤다

장은석 기자
입력 2018-06-01 20:52
업데이트 2018-06-01 23: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개월 연속 500억弗… 역대 5위 실적
한달 만의 반등에도 반도체 쏠림 ‘우려’
지난달 수출 실적이 한 달 만에 반등했다. 지난 4월 18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됐다가 빠르게 회복했지만 아직 안심하긴 이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5월 수출 실적이 나빠 상대적으로 증가한 기저 효과가 상당하고, 수출량이 늘었다기보다는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유화학 및 석유제품의 단가가 오른 영향이 커서다. 무엇보다 반도체에 편중된 수출 구조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5월 수출액이 509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3.5% 증가했다고 1일 밝혔다. 월간 역대 5위 실적이며 3개월 연속 500억 달러 돌파는 처음이다. 수입액은 442억 5000만 달러로 67억 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 76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 갔다.

산업부는 지난달 수출 증가 요인으로 미국·중국 등 주요국 제조업의 경기 호조, 국제 유가와 주력 품목 단가 상승, 반도체 등 정보통신 경기 호조를 꼽았지만 기저 효과 영향이 컸다. 지난해 5월 수출은 449억 3000만 달러에 그쳤다. 그달 1~9일 황금 연휴를 대비해 기업들이 전달에 수출 물량을 대폭 늘려서다.

반도체 수출은 108억 5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1.3%다. 반도체 호황이 끝나면 당장 한국 경제를 먹여 살릴 산업이 없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미 주력 산업 중 자동차와 철강, 선박 등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고 중국 기업들의 공세로 디스플레이와 가전제품 수출도 올해 들어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8-06-02 11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