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신세계 미니스톱 인수전…점포 확대 기회 될까 계륵될까

롯데·신세계 미니스톱 인수전…점포 확대 기회 될까 계륵될까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8-10-02 17:54
업데이트 2018-10-02 18: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롯데와 신세계가 편의점 미니스톱의 예비입찰에 뛰어들면서 두 ‘유통 공룡’의 맞대결이 예고된 가운데, 이번 인수전이 순위 탈환의 기회가 돼줄지 관심이 모아진다. 대표적인 규모의 경제 시장인 편의점 업계에서 점포 수를 대폭 늘릴 절호의 기회라는 분석과 동시에 일각에서는 외려 ‘계륵´이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예비입찰에는 롯데(세븐일레븐)와 신세계(이마트24)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다음달쯤 본입찰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입찰 성공하면 업계 순위 뒤집을 기회

두 기업이 이번 입찰에 눈독을 들이는 이유는 무엇보다 점포 수를 빠르게 늘릴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롯데와 신세계는 유독 편의점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성적을 내고 있다. 점포 수만 해도 지난달 말 기준 CU가 1만 3010개, GS25가 1만 2919개를 기록한 반면 세븐일레븐은 9535개, 이마트24는 3413개로 큰 격차를 보이는 상황이다. 미니스톱은 지난 8월 말 기준 전국에 2535개의 가맹점을 운영하고 있다. 세븐일레븐으로서는 미니스톱을 인수할 경우 점포 수가 1만개를 넘어서 1, 2위를 바짝 추격할 수 있다. 이마트24도 점포 수를 두 배 이상 늘릴 수 있다. 최근 업계에서 근접 출점 제한 조치가 긍정적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도 경쟁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후발 주자들 입장에서는 해당 조치가 시행될 경우 대규모 신규 출점이 어려워져 이번 인수전이 순위를 뒤집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수 있는 까닭이다.

●브랜드 교체·가맹점 상권 조정 등 부담

그러나 미니스톱 인수로 외려 부담을 떠안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간판 등 브랜드 교체 등을 위해서 기존 미니스톱 가맹점주들을 설득하고 가맹점 사이에 상권이 중복될 경우 이를 조정하는 등 새로운 가맹점과의 관계 재정립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지난해 기준 영업이익률이 0.22%에 그치는 등 미니스톱의 저조한 수익성도 부담 요인이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8-10-03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