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추경 해도 통화정책 기조 안 어긋나”

이주열 “추경 해도 통화정책 기조 안 어긋나”

장세훈 기자
입력 2018-02-27 22:24
업데이트 2018-02-28 03: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기준금리 年 1.50% 동결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 적어”

GM사태·美 통상 압박 우려에 “아직 성장률 조정 상황 아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7일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하더라도 현재 통화정책 기조와 어긋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연 후 기자간담회에서 대규모 실업 가능성에 대비한 정부의 추경 편성 움직임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정부가 추경을 통해 시중에 돈을 풀 때 한은이 기준 금리를 올려 돈줄을 죄면 효과를 서로 반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총재는 “현재 통화정책은 여전히 성장세 지속을 뒷받침할 수 있는 완화적인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또 한국GM의 군산공장 폐쇄 사태와 미국의 잇단 통상 압박에 대해 “(한국 경제) 성장의 하방 리스크를 높이는 요인”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아직 성장률(올해 전망 3.0%)을 조정해야 할 상황까지는 이르지 않았지만 우리 주력 수출 품목에까지 확대될 경우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은은 이날 열린 금통위에서 지난해 11월 인상한 기준 금리를 연 1.50%로 동결했다. 미국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다음달 20∼2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 예정이다. 현재로선 연 1.25∼1.50%인 정책 금리를 1.50∼1.75%로 올릴 것이 유력하다. 전망대로라면 한·미 금리는 2007년 8월 이후 10년 7개월 만에 역전된다.

이 총재는 한·미 금리 역전에 따른 자금 유출 우려에 대해 상당한 수준의 외환 보유액과 경상 수지 흑자를 꼽은 뒤 “당분간 외국인 증권자금이 대규모로 유출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 “외국인 채권자금 주체 중 장기투자 형태를 보이는 공공자금 비중도 높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은의 금리 동결에도 미국 금리가 오르면 국내 시중 금리가 덩달아 뛰는 긴축 효과가 생길 수 있다. 기준 금리 인상을 압박하는 외부 요인에도 불구하고 국내 경기 여건이 받쳐 주지 않으면 선뜻 인상 카드를 꺼내 들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한은의 입지는 좁아질 수밖에 없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8-02-28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