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트위터 선거/구본영 논설위원

[씨줄날줄] 트위터 선거/구본영 논설위원

입력 2010-02-17 00:00
업데이트 2010-02-17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들의 지저귐이 그 어원인 트위터(twitter)는 웹이나 휴대전화를 통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다. ‘Follow(팔로)’라는 클릭 한 번만으로 원하는 이와 140자 이내의 단문을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다. 당연히 홈피나 기존 블로그에 비해 전파력이 대단히 빠르다.

미국에선 “트위터의 바다에 빠졌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미 트위터 열풍이 거세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진영이 대선에서 활용해 재미를 볼 정도였다.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바야흐로 우리 정치권도 트위터 열풍에 휩싸일 조짐이다. 그런 만큼 선거전 활용을 놓고 찬반 논란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 새로운 사이버 의사소통수단에 대한 과신도, 지나친 경계도 모두 문제란 지적이 나온다.

선거전에서 트위터의 위력을 맹신하지 말아야 할 이유는 많다. 무엇보다 빠른 전파력에 비해 콘텐츠 전달력은 기존 블로그에 비해 처진다. 오바마 대통령은 260만명이 넘는 어마어마한 사용자가 팔로잉(인맥 추가)했다는 공식 트위터를 갖고 있다. 하지만 이를 선거전에서 이용한 참모들이 그 위력을 상당부분 부풀렸다는 평가도 있다. 정작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해 베이징 방문 당시 “한 번도 트위터를 사용해 본 적이 없다.”고 실토하지 않았던가. 인터넷 선거운동의 원조 격이었던 하워드 딘조차 2004년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반짝 돌풍을 일으키다 인기하락으로 도중하차해야 했다. 아무리 첨단 사이버 선거기법을 동원한다 하더라도 그 안의 콘텐츠가 부실하면 유권자의 시선을 오래 끌 수는 없는 법이다.

중앙선관위가 트위터를 전자메일로 규정, 선거법에 따라 단속하겠다고 한다. 사이버상의 인신공격이나 마타도어 유포 등으로 인한 혼탁선거를 막으려는 고충은 이해하지만, 이를 빌미로 아예 트위터 사용에 재갈을 물리려는 발상이라면 선뜻 동의하기 어렵다. 인터넷 악플과 마찬가지로 트위터의 메시지에 설령 문제가 있더라도 자율적으로 거르는 게 바람직하다는 뜻이다. 치명적인 허위사실이 아니라면 말이다.

홈피나 블로그이든, 혹은 트위터이든 좌우의 다양한 의견을 가진 유저들로 소통의 창을 넓혀 그 안에서 자정기능에 맡겨보자는 얘기다. 존 밀턴은 이를 ‘사상의 자유로운 공개시장’이란 그럴싸한 용어로 설명했지만, 규제일변도의 발상보다 나을 듯싶다. 무조건 트위터를 사갈시하는 것은 시대역행적인 일일 수도 있다. 물론 승리에 눈이 어두워 아니, 트위터 만능주의에 사로잡혀 ‘오버’하는 후보도 없어야겠지만….

구본영 논설위원 kby7@seoul.co.kr
2010-02-17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