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중국의 신동진주의와 역사학계의 책임 방기/이형구 동양고고학연구소 소장

[시론]중국의 신동진주의와 역사학계의 책임 방기/이형구 동양고고학연구소 소장

입력 2010-05-28 00:00
업데이트 2010-05-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만리장성은 중국의 상징이다. 그리고 한국 역사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만리장성은 중국의 전국시대에 시작해서 진한시기, 명나라 때까지 2000년 남짓 북방민족의 남침을 저지하기 위해 쌓은 성이다. 어불성설이지만 중국에서는 만리장성의 동쪽 끝을 주장하는 네 가지 설이 회자된다.

이미지 확대
이형구 동양고고학연구소 소장
이형구 동양고고학연구소 소장
첫번째는 연나라 때부터 그들의 세력이 한반도에 뻗쳐 청천강 유역까지 만리장성을 쌓았다는 설이다. 두번째는 오늘날 대동강 유역의 평안남도 용강군의 갈석산(碣石山)까지 쌓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그들 스스로도 이 구간에는 명확한 장성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 하나는 근세에 주장한 중국 퉁화(通化) 지역의 한대 장성설이다. 이 지역에서 토성이 발견되었는데 한대 유물이 나왔다고 한다. 그러나 이 지역은 부여와 고구려의 중심 강역이다. 부여는 한대 문화를 받아들인 만큼 한대 문화로 볼 수도 있지만, 이 유적은 부여와 고구려 초기 것이다.

나머지 하나는 이른바 명대 장성이란 것이다. 명대의 장성은 중국 허베이(河北)성 산하이관(山海關)에서 시작하여 간쑤(甘肅)성 자위관(嘉 關)까지 이르는 것이 우리가 아는 만리장성인데, 최근에 요동반도에서 보이고 있는 명대의 봉화대나 돈대와 같은 관방시설을 요동장성이라고 주장한다.

특히 우리나라 의주의 대안인 압록강 남안의 관전현(오늘날의 단둥) 후산(虎山)에 있는 명대 관방시설을 만리장성의 시발점이라고 하여 1990년부터 대대적으로 새로운 장성과 관문 누곽을 쌓았다. 이후 2㎞의 모조 만리장성을 한국 관광객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최근 랴오닝(遼寧)성 지역의 일부 학자와 지방정부는 이른바 호산장성을 두고 명나라 때 몽고나 여진의 남진과 서진을 저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요동변장을 압록강부터 만리장성을 쌓은 흔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 결과 중국 학계는 이른바 호산장성의 만리장성 동단기점설이 거의 확정 단계에 이르고 있다. 중국의 각종 서적이나 관광 안내서에 소개되고 있으며 심지어는 중국의 교과서나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에 추가 등재할 기세이다.

그러나 필자의 문헌조사와 현지조사 결과 이른바 호산장성은 ‘삼국사기’나 ‘당서’에 나오는 고구려의 박작성(泊?城)이었다. 이른바 호산장성은 이 박작성을 세로로 질러서 쌓은 모조 산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은 1992년에 호산에 장성을 쌓기 시작하였다.

문제는 우리가 만리장성이 압록강까지 왔다고 하는 중국 측의 주장을 현장에서 확인하고서도 이렇다 할 연구나 대응이 없었다는 점이다. 가장 큰 문제는 우리 학계가 지금까지 중국의 신동진주의(新東進主義)에 대해서 무관심하거나, 무반응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중국은 고조선이나 부여, 고구려, 발해의 중심 지역이 전국시대 연나라나 진한시기의 중국 강역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우리 학계는 이 시기를 이른바 원삼국(原三國)시대라고 하여 국가가 존재하지 않는 시기로 설정하고 있다. 최근에도 한성백제의 수도인 서울 근교의 김포, 연천, 원주 등지에서 발굴되고 있는 2~3세기 한성백제의 유적·유물을 원삼국시대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한성백제의 도성인 풍납토성이 축성 완료된 시기가 2~3세기인데 원삼국시대라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우리가 백제 초기 역사를 방기(放棄)하고 있는 사이에 중국의 역사가 개입되었다. 이 시기는 바로 중국 학계가 주장하는 한사군의 시기와 일치하고 있다. 심지어는 일본의 일부 학자의 주장이나 새로운 교과서에는 한사군의 남쪽 지점이 금강까지 이르고 있다. 바로 이 시기가 중국의 역사로 둔갑되고 있는 것이다. 만리장성과 관련한 중국의 억지는 바로 우리 학계의 삼국초기 역사의 방기에 편승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국도 중국이지만 우리의 역사 의식과 역사 연구의 자세가 더 큰 문제이다. 우리의 역사는 우리의 손으로 쓰여진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되새기고자 한다.
2010-05-28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