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지방도시 부동산시장의 앞날은/장희순 강원대 부동산학과 교수

[지방시대] 지방도시 부동산시장의 앞날은/장희순 강원대 부동산학과 교수

입력 2011-02-22 00:00
업데이트 2011-02-22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족과 가구의 개념이 요동치고 있다. 불과 10년 전에 견줘 본다면 가히 상전벽해다. 가구원 수가 감소하는 대신 1인 가구가 증가하고, 공가(空家)는 넘쳐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장희순 강원대 부동산학 교수
장희순 강원대 부동산학 교수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부동산시장의 커다란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으며, 특히 지방도시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사회구조의 변동이 주택수요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2010년 인구주택센서스에 따르면, 2010년 12월 현재 우리나라의 총가구 수는 1733만 4000가구로 2005년보다 144만 7000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 수 대비 23.3%인 403만 9000가구로 2005년 조사 당시 20.0%에서 3.3% 증가했다. 이러한 1인 가구 비율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경북이 28.4%로 가장 높고, 전남 28.2%, 강원 27.2%, 충북 27.4%, 충남 26.0%의 순이었다. 서울·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에서 1인 가구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

또 빈집이 2005년에 전국적으로 72만 8000호였던 것이 2010년에는 85만 1000호로 늘어 무려 16.9%나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7만 9800호, 경기가 12만 6581호에 이르고, 나머지 52만 1619호는 지방에 분포했다.

현재 지방도시에서는 저이용 상태로 방치되고 있는 토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신규택지 개발 수요의 감소, 기존 공급된 택지의 미분양 상태 지속, 특정 지역의 특정 위치에 대한 수요만이 상존할 뿐, 그 외의 공간에 대한 수요 감소는 결국 토지시장의 침체를 초래할 우려를 안고 있다. 주거 외에 별장이나 리조트 콘도를 갖든지, 교외에 주된 주택을 두고 도심에 오피스텔과 같은 주거공간을 소유하는 등 복수의 수요 창조도 생각할 수 있지만 한정된 수요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결국 절대인구 감소에 의한 공간 수요의 감소는 부동산시장의 장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에 더해 지방의 고령화는 더욱 심각하다. 이제껏 지방도시는 서울 및 수도권의 주택수요 공급처 역할을 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고령화와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는 주거를 중심으로 한 이동 수요를 억제하는 요인이다. 그리고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는 기존 공급된 가족형 주거공간의 수요를 줄이고 원룸과 같은 기형적인 형태의 생활공간을 요구하고 있으며, 1인 가구의 증가는 가족형 생활중심의 단독주택이나 아파트 수요를 감소시켜 장기적으로는 공급과잉이나 ‘공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증가하고 있는 빈집들이 이를 말해주고 있다.

1인 가구의 증가, 고령화, 저출산 등에 대한 대책은 지방과 대도시권에서도 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

지방도시 부동산시장의 양극화 현상은 종전과는 다른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 환경이 양호한 일부 지역이나 이용가치가 높고 수익 창출 가능성이 높은 지역은 가치를 유지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곳의 상품가치는 급격하게 떨어질 것이다. 향후 지방도시의 부동산시장은 극심한 양극화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사회구조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한 부동산대책과 80만채에 달하는 공간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지역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차별화된 부동산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2011-02-22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