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눈치/최광숙 논설위원

[씨줄날줄] 눈치/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2-05-03 00:00
업데이트 2012-05-03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무현 정부 시절 평소 국무회의에서 아는 척하며 말하길 좋아하던 한 국무위원이 어느 날부터인가 말을 아꼈다. 대통령 대신 국무회의를 주재하던 고건 총리가 물러나고 이해찬 총리가 새로 임명되고 나서다. 권력의 세계를 누구보다 잘 알던 그는 그날부터 ‘실세’ 이해찬 총리의 눈치를 보기 시작한 것이다.

보통 눈치 하면 말 그대로 ‘다른 사람의 기분이나 또는 주어진 상황을 때에 맞게 알아차리는 능력’을 말한다. 일찍이 이어령 이화여대 석좌교수는 한국의 사회·문화를 파헤친 저서 ‘흙속에 저 바람속에’에서 우리 민족을 눈치가 발달한 민족으로 적고 있다. 그는 눈치를 “단순한 센스가 아니라 언제나 약자가 강자의 마음을 살피는 기미”라고 했다. 원리·원칙과 논리가 통하지 않는 부조리한 사회에서는 없어서 안 될 지혜라고.

공직사회에서 공무원들은 장관의 눈치를 보고, 장관은 대통령의 눈치를 본다. 소신 있게 일을 처리하는 것보다 윗사람의 의중을 파악하고, 심기를 잘 살펴야 일이 잘된다고 믿고, 실제 그렇기도 하다. 김영삼 정부 시절 청와대 제1부속실장이었던 장학로씨가 하루에 두번이나 점심을 먹으면서 기업들로부터 거액의 뇌물을 받을 수 있었던 것도 여기저기서 대통령의 눈치를 살피기 위해 ‘문고리 권력’을 챙기려다 보니 생긴 일이다.

직장에서 출세하기 위해 윗사람의 눈치를 본다면 그것은 ‘권력형 눈치’다. 일본 프로야구에서 뛰는 이대호 선수가 과거 한 방송에 나와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눈치 9단”이라고 스스로 밝혔는데, 그렇다면 ‘생계형 눈치’일 게다. ‘눈치만 빠르면 절간에서도 새우젓을 얻어 먹는다.’는 우리 속담은 생계형 눈치의 무한 생활력을 보여주는 사례이지 싶다. 마음 아픈 눈치도 있다. 지난해 가톨릭대 연구팀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왕따(학교폭력)를 경험한 청소년들의 뇌 구조를 보면 타인의 표정과 심리를 살피는, 즉 남들 눈치 보는 영역이 크게 활성화돼 있다고 한다.

최근 새누리당의 비박(非朴) 진영에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리더십을 공격하는 발언이 연일 쏟아지고 있다. 김태호 의원이 “새누리에는 눈치 주는 사람과 눈치 보는 사람만 있다.”고 포문을 열더니, 김문수 경기도지사도 “전부 박 위원장의 눈치를 살피면서 ‘박심(朴心) 살피기’에 몰두한다.”고 날을 세웠다. 정권을 재창출하겠다고 나선 여당에서 ‘눈치’에 정치 운명을 맡긴다면, 바라보는 국민이 서글퍼진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2-05-03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