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올림픽 유감/주원규 소설가

[문화마당] 올림픽 유감/주원규 소설가

입력 2012-08-16 00:00
업데이트 2012-08-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림픽은 더 이상 신성하지 않다. 이 문장을 듣게 되면 대뜸 다음과 같이 물을 것이다. 언제 우리가 올림픽을 신성하다고 했었느냐. 올림픽이 종교라도 되는 거냐 등등의 질문을 쏟아내며 의아해할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예상되는 반문에도 거듭 밝히자면 올림픽은 본래 신성했다.

이미지 확대
주원규 소설가
주원규 소설가
왜냐하면,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 올림픽을 운영하는 협회, 선수들의 열띤 경합을 지켜보며 응원하는 수억명에 달하는 시청자들. 이들 모두가 올림픽의 신성성을 지지하며, 이를 숭고한 감정으로 지켜보길 원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가 가능한 이유는 올림픽이 기본적으로 스포츠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사실이며, 인류의 역사 자체가 경쟁과 경합의 추동력 덕분에 지속하였음을 배제할 수 없는 현실에서 상징적 의미를 부여받는 스포츠란 게임을 통해 인간의 영웅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기 때문이다.

스포츠는 경쟁에서 승자를 향한 경외심을 긍정하고 승자에 대한 숭배의 합의까지 자연스럽게 도출해 내는 속성이 있다. 승자를 정점에 놓고 승리의 감격을 공유하는 측면에서 분명히 스포츠는 신성하며, 그만큼 순수하다. 승리의 감정을 공유하는 건 인간의 본능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또 한 가지. 이 자연스러운 본능이 당연한 것으로 합의되기 위해선 정당성이란 장치가 요구된다. 정당성은 경쟁이 공평하게 이뤄질 수 있는 장의 조성을 통해 구현되기 마련이다. 공평한 장이 형성되고 그 기반을 통해 승리자를 가리는 일련의 과정에서 인간은 신성함을 경험하게 되고 4년에 한 번씩 개최되는 명실상부한 지구촌 축제인 올림픽은 그러한 신성한 체험을 가장 극적으로 인도해줄 의무를 가진 것으로 당연히 합의되어 온 것이다. 그렇지 않은가.

그런데 이번 런던올림픽에서 우리는 두 가지 면에서 신성함에 대한 기대의 붕괴를 경험하고 말았다. 정당함을 잃어버린 오심의 난무, 그 저변을 장악한 스포츠 비즈니스에 대한 정당성 훼손 혐의가 하나의 이유이다. 또 다른 하나는 올림픽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에서 나타난 신성에 대한 그릇된 맹신을 꼽을 수 있겠다.

먼저 오심에 대해서. 올림픽에서 가장 기대하는 건 공정한 경쟁이다. 선의의 경쟁을 보장하는 건 합리적인 경기 규칙과 심판, 정당한 판정이다. 그런데 이 정당한 판정이 붕괴되는 순간이 심심찮게 나타났다. 혐의를 좀 더 확장해 판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소들이 소위 강대국, 스포츠외교 영향력 관점에서 비롯되고 거기에 또 하나. 스포츠 산업, 스폰서 기업들의 입김으로부터 파생된 것이라면 우리는 결코 올림픽을 신성하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신아람 선수의 ‘1초 오심’ 사건을 통해 해석되는 위의 서글픔은 그렇기에 공정한 경쟁을 통한 참된 영웅을 기대하는 최소한의 기대마저 무너진 것에 대해 더없는 유감을 표현해야 마땅하다고 본다.

여기에 또 하나 유감스러운 일이 있다. 우리 사회가 올림픽을 바라보는 뿌리 깊은 우상숭배다. 우리의 결론은 언제나 하나다. 힘을 갖는 것. 언제나 되풀이되어온 같은 결론이다. 단순하지만 명확한 이 답을 위해 우리는 승자 만능주의에 입각한 엘리트 선수 양성에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역량을 쏟아부을 것이다. 그게 뭐가 문제냐고 묻는다면 대답은 단호하다. 바로 그게 문제라고.

우리가 기대하는 올림픽의 신성함은 선수들의 땀 흘리는 노력이 필요조건이요, 경쟁과 승리자 찬양은 충분조건이란 바른 관계 설정에 의미를 두어야 한다. 그렇지만, 오늘의 우리는 과연 올림픽 정신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걸까. 입으로는 패자도, 노메달리스트도 아름답다고 떠들지만, 그들에게 건네는 건 패자를 위로해 주는 수준의 측은지심, 동정의 태도만으로 일관되진 않았는지 이제는 정말 진지하게 물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이번 런던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은 분명해졌다. 하지만, 훼손된 올림픽 정신, 우리의 승자 만능주의에 대한 유감은 더 깊어졌다.

2012-08-16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