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북한 과학자의 숙명/최광숙 논설위원

[씨줄날줄] 북한 과학자의 숙명/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2-12-20 00:00
업데이트 2012-12-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에게 원자폭탄 개발계획인 ‘맨해튼 계획’의 총책임을 맡겼다. 독일 나치가 원자폭탄을 미국보다 먼저 개발해 세계를 전쟁으로 이끌지 모른다는 논리로 그를 설득시켰다. 루스벨트의 핵폭탄 개발 논리는 바로 핵폭탄 개발을 촉구하는 아인슈타인의 편지 두 통에서 나왔다고 한다.

원자폭탄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2차 세계대전은 종지부를 찍게 됐고 오펜하이머는 영웅이 됐다. 하지만 원자폭탄으로 많은 사람들이 죽자 그는 “내 손에 피가 묻어 있다.”며 평생 죄책감과 신경쇠약에 시달렸다. 이로 인해 소련의 수소폭탄 개발에 자극을 받은 아이젠하워 대통령으로부터 수소폭탄을 개발하라는 지시를 받았지만 거절했다. 이런 와중에 그는 공산주의자로 몰려 청문회에 불려갔고, 이후 모든 공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이처럼 냉전시대엔 정치의 세계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과학자들의 운명이 국가 권력에 의해 자신의 뜻과 상관없는 길로 접어들기도 했다. 미국과 소련의 수많은 과학자들이 핵 확산 경쟁에서 애국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능력을 국가를 위해 바쳐야 했다. 이른바 과학 연구의 정치화가 이뤄진 것이다.

중국 ‘미사일의 대부’ 첸쉐썬(錢學森)은 미국에서 미사일 개발에 참여했던 과학자다. 그런 그를 저우언라이 총리는 미국과 수차례 협상 끝에 중국 영공을 침범한 미군 11명과 맞바꿔 중국으로 데려왔다. 그 이후 그는 중국의 첫 핵실험, 지구위성 발사, 유인우주선 발사 등 혁혁한 공을 세웠다. 장쩌민 전 주석과 후진타오 주석 등이 병중에 있는 그를 문병갈 정도로 그는 평생 국보급 과학자로 극진한 대접을 받았다. 과학자들을 우대하는 중국의 전통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최근 김정일 사망 1주기 행사에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옆자리를 차지했던 신원 미상의 인물이 최춘식 제2자연과학원장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제2자연과학원은 북한의 무기를 연구·개발하는 곳으로, 이번에 성공한 장거리 로켓도 여기서 개발됐다고 한다. 서열로 보나 뭐로 보나 김정은의 옆에 감히 서 있지 못할 그가 장거리 로켓 발사 성공의 공로를 인정받은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의 지근 거리에 선 자리 배치에 따라 권력 서열이 매겨지는 북한의 관행으로 보아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장거리 로켓 발사로 북한에서는 지금 ‘과학의 정치화’가 한창 진행 중인 것 같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2-12-20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