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뉴스캐스트’ 퇴장의 명암/정기홍 논설위원

[씨줄날줄] ‘뉴스캐스트’ 퇴장의 명암/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3-01-03 00:00
업데이트 2013-01-03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년 전 이맘때 언론사 인터넷사이트를 운용하는 닷컴사에 큰 사건이 일어났다. 포털사이트 점유율 1위인 네이버가 초기 화면에 13개 기사의 제목을 다는 공간인 ‘뉴스캐스트’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네이버는 논란이 일었던 편집권 문제에서 자유로워지고, 닷컴사는 방문자 트래픽을 올리는 묘수가 나온 것이다. 마땅한 수익 모델이 없던 닷컴사들은 광고 수익도 올리는 일석이조의 구도를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이후 상당수 닷컴사의 인터넷업계 순위는 10~20위권으로 껑충 뛰었다. 한 달에 5000만원이던 수익을 4억원으로 올린 닷컴사도 생겨났다. 닷컴사들은 서버 용량을 늘리는 등 부산히 움직였다. 네이버는 ‘개방과 공유’란 미디어 생태계의 큰 흐름에 부응하기 위해서란 공식 멘트도 내놓았다.

하지만 밀월은 오래가지 않았다. 제도 시행 1년여가 지나자 닷컴사들은 누가 먼저라 할 것 없이 ‘낚시성 제목’을 쏟아냈다. 기사의 제목을 꼬고 또 꼬았다. ‘알고 보니’ ‘해보니’ ‘결국’ 등 신문 지면에서는 볼 수 없는 제목이 수없이 등장한다. ‘조난 피서객이 구조됐다’는 내용의 기사 제목이 “조난된 피서객 결국···”으로, ‘국수 먹다 응급실 직행’이 “키스하다…응급실”로 졸지에 둔갑했다. 선정성, 광고성 기사를 실어 뉴스캐스트에서 일시 퇴출되는 닷컴사들도 나왔다. 제목은 ‘떡밥’, 독자는 ‘물고기’란 씁쓸한 촌평도 이때 나온다. 제목과 기사가 한눈에 들어오는 신문과 달리 온라인 기사는 제목만으로 승부를 걸 수밖에 없는 숙명적 특성 때문이다.

닷컴사와 네이버 간의 촌극(寸劇)은 하루 종일 일어났다. 네이버 측은 ‘제목 장사’와 선정적인 제목을 지적하는 메일을 하루 수십통씩 닷컴사에 날린다. 특정 기사가 24시간 초과됐느니, 선정성 지적이 많은 제목이니 등 사유도 다양하다. 닷컴사의 항변으로 서로 얼굴을 붉히기 일쑤였다. 일반 독자들이 이 같은 웃지 못할, 내부적인 일을 알 리 만무하다. 네이버가 그제 뉴스캐스트의 대안으로 ‘뉴스스탠드’ 서비스를 시작했다. 뉴스캐스트는 오는 4월까지 뉴스스탠드와 병행 서비스를 한 뒤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네이버 측은 뉴스스탠드를 도입하면서 이용자가 ‘MY 뉴스’로 선택한 언론사의 설정률을 순위로 정해 1년에 두번 ‘기본형’에 편입되는 언론사를 정한다고 한다. 뉴스스탠드에서는 ‘MY 뉴스’에서 언론사를 선택하는 기능이 중요해진다는 뜻이다. 커넥션(접속)만 하면 다양한 뉴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대에 구독을 홍보하는 오프라인적 메커니즘이 비집고 들어온다니 퍽 역설적이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3-01-03 3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