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1963년 서울 청계천 평화시장

[DB를 열다] 1963년 서울 청계천 평화시장

입력 2013-02-01 00:00
업데이트 2013-02-01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화시장은 6·25 때 남쪽으로 내려온 북한 피란민들이 청계천 옆에 판자촌을 이루고 옷을 만들어 판 데서 출발했다. 평화라는 이름도 그런 배경에서 나왔다. 실향민들은 재봉틀을 한두 대 놓고 미군복을 수선하고 염색해서 팔거나 ‘몸뻬’라고 불리는 여성용 일바지를 만들어 판매했다. 1958년 청계천 판자촌에서 큰불이 나고 이듬해 청계천이 복개되면서 평화시장은 새롭게 탄생한다. 지금과 비슷한 건물은 1962년 2월 완공되었다.

이미지 확대
‘서울피복사’ ‘일광피복사’ 같은 간판이 보이는 사진은 1963년 1월 찍은 것이다. 그런데 왠지 새 건물 느낌이 나지 않고 주변 풍경도 을씨년스럽다. 길가에서는 얼음 위로 아이들이 썰매를 타고 있다. 평화시장에는 영세 의류 제조업체가 밀집해 도시 빈민의 값싼 노동력으로 저렴한 옷을 만들었다. 이런 노동력 착취는 청계피복노조원이었던 전태일이 1970년 11월 13일 분신한 사건의 원인이 되었다.

아픈 역사를 갖고 있지만 다양하고 저렴한 옷을 파는 대규모 의류상가인 평화시장은 1980년대까지도 호황을 누렸고 주변에는 신평화시장, 청평화시장, 동평화시장, 남평화시장 등 유사한 이름을 가진 시장들이 들어섰다. 평화시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헌책방이다. 1층에는 지금도 20여곳의 헌책방이 있다. 돈 없는 대학생들이 중고서적을 구할 수 있는 소중한 곳이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2-01 3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