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삼성에 대한 단상/류지영 산업부 기자

[지금&여기] 삼성에 대한 단상/류지영 산업부 기자

입력 2013-02-02 00:00
업데이트 2013-02-02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류지영 산업부 기자
류지영 산업부 기자
1995년 4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은 중국 베이징에서 가진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한국의 정치는 4류이고 행정과 관료는 3류며 기업은 2류”라고 말했다. 지금까지도 우리 사회에서 회자되는 이 회장의 ‘베이징 발언’이다.

사실 그의 지적은 하나도 틀린 게 없었다. 당시 대통령과 정·관계 인사들의 그릇이 너무 작아 이를 인정하지 못했을 뿐이다. 김영삼 대통령이 이 회장의 발언을 괘씸하다고만 여기지 않고 자신의 경제정책 전반을 점검하는 계기로 삼았다면 한국 경제는 좀 더 건강하고 활력 있게 성장했을 것이다.

시간이 흘러 삼성은 이제 감히 국내 어느 기업도 넘볼 수 없는 위치에 올라섰다. 삼성은 이제 2류도 1류도 아닌 ‘초일류’ 기업이 됐다. 하지만 최근 불산 유출 사태에서 보여준 삼성의 태도는 규모에 걸맞지 않게 후진적이었다. 삼성은 사망자가 발생한 뒤에서야 당국에 신고했다. 사람이 죽지 않았다면 이번 사고는 영원히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

맹독성 물질인 불산이 새는 부위를 고작 비닐봉지로 막아두고, 사고를 수습하기 위해 출동한 경찰과 소방서의 현장 접근을 의도적으로 지연시켰다는 의혹도 나온다. 삼성에는 다른 어떤 것보다도 자신들의 영업비밀이 가장 중요한 가치인 것 같다.

2007년 삼성중공업 예인선이 유조선 허베이스피리트호를 들이받아 원유 1만 4000㎘가 충남 태안 앞바다에 유출된 ‘태안기름유출사건’ 이후 삼성은 기회 있을 때마다 더욱 낮은 자세로 국민께 심려를 끼치지 않겠다고 다짐해 왔다. 하지만 삼성은 아직도 사건이 터지면 일단 감추고 숨기기에만 급급할 뿐, 진정성 있게 상황을 설명하고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지 않고 있다.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말이 있지만, 삼성은 5년 전 그렇게 큰 홍역을 치르고도 아직까지 교훈을 얻지 못한 듯하다.

시중에는 이 회장의 베이징 발언을 패러디해 ‘삼성의 제품은 1류, 임직원은 2류, 마인드는 3류’라는 이야기가 떠돈다. 이제 CJ와의 상속재산 1심 소송에서도 승리해 거칠 것이 없어진 삼성이지만, 이런 얘기들을 그저 괘씸하다고만 여기지 말고 한 번쯤 자신을 점검하는 계기로 삼으면 안 될까. 앞으로 닥칠 수 있는 더 큰 어려움을 미리 막아낼 수도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3-02-02 26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