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박근혜 핸드백’/육철수 논설위원

[씨줄날줄] ‘박근혜 핸드백’/육철수 논설위원

입력 2013-02-05 00:00
업데이트 2013-02-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권좌에 오른다는 건 영광이기도 하지만 피곤한 일이기도 하다. 보는 눈이 워낙 많으니 신경쓰이는 일이 어디 한두 가지인가. 얼마 전 ‘지엄하신’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이마에 ‘겁 없는’ 파리 한 마리가 앉았다. 전 세계 신문들은 이 사진을 큼지막하게 실었다. 파리가 보통 사람의 얼굴에 앉았다면 얘깃거리도 안 됐을 터. 대통령 체통에 경망스럽게 파리를 즉각 ‘격퇴’하지 못하고 사진기자에게 틈을 허용하고 만 오바마의 고충을 그 누가 알겠는가.

옛날 황제에게 ‘기본자세’를 가르친 이유도 결국 남의 눈 때문이었다. 제왕의 일거수일투족은 신하와 백성의 예리한 시선을 피할 도리가 없기에 항상 위엄과 단정함에 신경을 써야 했다. 용이나 호랑이처럼 점잖게 걷고(龍行虎步), 소매를 단정히 하고 위엄있게 용좌에 앉고(正襟威坐), 곁눈질을 하지 말며(目不斜視), 말할 때는 입모양을 비뚤게 하지 말라(口莫開)고 가르친 것은 뭇시선을 두려워하란 뜻이다. 요즘 국가지도자들의 언행과 치장은 상당 부분이 언론에 노출돼 순식간에 국민에게 알려진다. 옛날 제왕들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특히 세계의 여성 대통령이나 총리의 경우, 발끝부터 머리끝까지 패션에도 입방아를 찧어대니 그 스트레스가 오죽할까 싶다.

핸드백은 여성의 패션에서 구두·브로치 등과 함께 중요 포인트 중의 하나다. 그래서인지 일부 여성 국가지도자들의 핸드백은 언론에 종종 화제가 된다. 독일 메르켈 총리는 중요한 날이면 오렌지색 핸드백을 들고 나타난다. 프랑스 브랜드 ‘롱샴’으로 알려진 이 핸드백은 300유로(50만원)짜리. 그는 옷 색깔과 상관 없이 이 핸드백을 메고 다녀 전문가들에게 ‘패션 테러’란 쓴소리를 들어야 했다. 대처 전 영국 총리는 정상회담 등 주요 행사에 영국 명품인 검은색 ‘아스프레이’ 핸드백을 자주 들고 나왔다. 국무회의 때는 이 핸드백을 탁자 위에 올려놓고 서류를 꺼내 장관들을 꾸짖어 ‘권력의 상징’이 됐다. 헬레 토르닝 슈미트 덴마크 총리도 핸드백 애호가. 명품 백을 늘어놓고 화보까지 찍어 ‘구치 헬레’란 별명을 얻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회색 ‘타조가죽 핸드백’이 논란거리다. 100만원이 넘는 명품이라며 인터넷에서 누리꾼들이 왁자지껄하다. 그런데 실은 국내 영세업체가 만든 저가 제품이라고 한다. 그래도 박 당선인이 들었으니 눈에 띄었나 보다. 주시하는 눈이 많으니 별 것 아닌 게 다 관심거리다. 새 대통령을 육안(肉眼)이 아닌 심안(心眼)으로 봐주는 누리꾼의 성숙함이 아쉽다.

육철수 논설위원 ycs@seoul.co.kr

2013-02-05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