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평창이 내게 건넨 선물들/권석하 영국 런던 거주

[기고] 평창이 내게 건넨 선물들/권석하 영국 런던 거주

입력 2013-02-06 00:00
업데이트 2013-02-06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 나이에 한국까지 가신다고요?’

‘다들 20대 젊은이들일 텐데….’

권석하
권석하
주위에선 고개를 갸우뚱거렸다. 1980년대 초반 영국에 건너가 지금껏 살아왔다. 지난해 런던올림픽 때 조국에서 오신 손님들을 도와드린 인연에다 평창 동계스페셜올림픽의 성공 개최를 돕겠다는 마음으로 자원봉사를 신청했다. 강원 평창에 도착한 게 지난달 23일이었다.

2500여 자원봉사자 중 61세인 내가 가장 나이가 많았다. 영어를 더 잘할 것 같은 젊은이들도 많았는데 ‘DAL’(대표선수 지원단) 단원으로 어떻게 선발됐는지 모르겠지만 난 대회 내내 ‘영국에서 날아온 아저씨 자봉’으로 통했다. 영국 선수 6명과 코치 등 임원 7명, 선수 가족 15명을 거드는 게 내 일이었다.

이제 성화는 꺼졌다. 해외에서 30여년을 보낸 ‘아저씨 자봉’은 평균 23세인 조국의 젊은이들과 부대끼며 아주 행복했다. 2주 남짓 자원봉사자들은 5~6명이 한 방에서 자는 열악한 여건에서도 자신의 일처럼 이리 뛰고 저리 뛰면서 대회를 치러냈다. 그러나 대회 초반 흠결도 적지 않았다. 중심으로 자리해야 할 조직위원회는 잘 눈에 띄지 않았고 겉돌았다. 충분한 예산도 확보되지 않은 것 같았다. 한마디로 자원봉사 없이는 대회가 돌아갈 수가 없었다.

그런데도 봉사자들에 대한 지원과 배려가 부족했다. 나경원 조직위원장이 자원봉사자 모임에 직접 나와 해명도 하고 대책 마련을 약속하는 촌극이 벌어졌다. 그래서인지 그 뒤 한결 나아졌다. 1분에도 수십 개 쌓이던 봉사자들의 카톡방 불평 문자도 사라졌다.

그러나 식사와 숙소에 대한 불평은 계속됐다. 장애인선수들에게 제공되는 도시락 점심은 정말 말이 안 됐다. 차갑게 굳어 목을 넘기기가 힘들었다. 지적장애가 있는 선수들을 좁은 공간에 너무 많이 들여 스트레스가 쌓여 문제를 일으킨다는 코치들의 불만을 지나치다고 할 수가 없었다. 장애로 불편한 이들을 이렇게 소홀하게 대할 바에는 대회를 왜 치르느냐고 고개를 내젓는 봉사자도 있었다.

자원봉사자들은 착하고 단순해서 늘 밝게만 웃는 선수들에게 하나라도 더 챙겨주려고 욕심을 부리다 잘 안 되면 속상해 하고 안타까워했다. 이렇게 착한 젊은이들에게 한국 사회는 또다시 큰 빚을 졌다고 생각한다.

다행스럽게도 선수들은 불평을 입 밖에 내지 않았다. 이런 대회가 열린다는 것과 거기 참여한 자신이 행운아라고 여기는 것 같았다. 선수촌이든 경기장이든 얼굴을 찌푸리거나 무표정하게 지나치는 이들은 소위 ‘정상적인’ 이들이었다.

그런 게 익숙해지자 누군가 첫 인사에 뜨악한 반응을 보이면 ‘아차, 저이는 선수가 아니라 정상적인 사람이지’라고 여기고 서글퍼지곤 했다. 상대가 날 재지 않는다는 것이 이렇게 편안한지 처음 알게 됐다.

이번 봉사를 통해 얻은 것이 그들에게 배려하고 안겨준 것보다 훨씬 많아 참으로 고마웠다.

오랜만에 찾은 조국, 그것도 강원 평창에서 이렇게 새로운 사람들을 만났고 그들로부터 새로운 세상을 얻었다. 영국에 돌아가면 총리 초청으로 선수단과 함께 다우닝 관저에 들어가게 된다. 그것도 평창이 건넨 선물이다.

2013-02-06 28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