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잠 못 이루는 대통령께/안미현 경제부장

[데스크 시각] 잠 못 이루는 대통령께/안미현 경제부장

입력 2013-02-26 00:00
업데이트 2013-02-26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안미현 경제부장
안미현 경제부장
5년여 전인 2007년 8월 20일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박근혜 당시 후보는 이명박 후보와 맞붙었다. 전날 밤 박 후보는 잠을 이루지 못했을 것이다. 그리고 두 가지 상황에 대비해 계획(플랜)을 짰을 것이다. 이겼을 때와 졌을 때. 결과는 석패였고, 그는 플랜 B를 꺼내 들었다. 큰 선거 뒤에는 으레 분열과 책임 공방이 따랐기에 박 후보의 깨끗한 패배 인정은 신선했다.

지난해 12월 대선. 누구도 꺾지 못할 것 같던 난공불락의 대세가 위협받는 상황 속에서 박 후보는 또다시 몸을 뒤척이며 두 개의 플랜을 점검했을 것이다. 이번에는 고통스러운 플랜 B를 꺼내 들 필요가 없었다.

선거란 게 참 묘했다. 그토록 팽팽하던 힘의 균형이 거짓말처럼 한쪽으로 순식간에 쏠렸다. 권력을 쥔 자와 쥐지 못한 자의 ‘선거, 그 후’가 참으로 극명했다. 박 후보는 선거 막바지에 TV토론에 나와 이런 말을 했다. “신경 쓸 남편도, 건사할 자식도 없다”고. 요샛말로 ‘뽑아만 주면 국정에 올인하겠다’는 얘기였다. 다른 대목은 몰라도 진정성이 느껴졌다.

그렇게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25일 취임했다. 일각에서는 ‘고도로 계산된 이미지 메이킹’이라고 깎아내리기도 하지만 고(故) 육영수 여사를 연상시키는 ‘한복 입은 대통령’의 고운 자태가 보기 좋다.

하지만 환하게 웃는 대통령을 보면서 좀체 따라 웃을 수가 없었다. 장관은커녕 정부 조직도도 그리지 못한 채 출범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백지수표 정부’여서만은 아니다. 자고 나면 이런저런 의혹이 꼬리를 물고 나오는 장관 후보자들 때문만도 아니다.

대통령에게 따라다니는 ‘불통’ 꼬리표 때문이었다. 초대 내각 인선을 보며 엄습했던 불안감은 전날 밤 청와대 대변인 내정 소식을 접하며 두려움으로 바뀌었다. 장관 후보자들과 달리 대변인 내정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대변인에 발탁됐을 때 말과 글이 낱낱이 해부됐다.

직접 ‘써 본’ 개인의 능력이 제 아무리 아깝다한들, 대선 경쟁자의 지지세력을 ‘정치적 창녀’라고 표현한 논객을 중용하는 것은, 자신에게 등 돌린 48%까지 끌어안고 국민행복시대를 열겠다는 통합 대통령이 보여줄 행보가 아니다. 대통령의 아집이 느껴졌다.

대통령을 가까이서 지켜본 사람들의 전언에 따르면 대통령의 눈에서는 레이저가 나온다고 한다. 카리스마가 대단하다는 농반진반 비유다.

그래서 더더욱 걱정이다. 입바른 말 잘하기로 유명한 경제관료가 청와대 경제수석을 해보고 나서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대통령에게 “아니요”라고 말하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더라고. 대통령에게 “아니요”라고 말하는 사람이 생각보다 너무 없더라고.

대통령은 며칠 전 “나라를 이끌 걱정에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한다”고 했다. 34년 만에 다시 청한 청와대에서의 첫날 밤인지라 뒤척이는 횟수가 더 많았으리라.

잠 못 이루는 밤, 대통령이 자신의 귀를 가만히 만져 보았으면 한다. 부지불식간에 닫혀 있는 것은 아닌지, 아니 알면서도 닫고 있는 것은 아닌지, ‘손톱 밑 가시’까지 다 듣고 있다고 자신했는데 그 얘기가 혹시 ‘걸러진’ 것은 아닌지 묻고 또 물었으면 한다. 그래서 5년 뒤 자신의 바람대로 국민에게 행복을 준 대통령으로 기억됐으면 한다. 그러자면 지금의 불통은 버려야 한다.

hyun@seoul.co.kr

2013-02-26 3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