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1970년 금혼식에서 이방자 여사와 아들 이구씨 부부

[DB를 열다] 1970년 금혼식에서 이방자 여사와 아들 이구씨 부부

입력 2013-03-18 00:00
업데이트 2013-03-18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영친왕(1897~1970) 이은은 고종의 일곱째 아들로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이며 순종의 이복동생이다. 경술국치로 왕세자로 지위가 격하된 영친왕은 열두 살 때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왕족의 딸인 이방자(1901~1989) 여사와 결혼하고 일본 육사를 졸업, 계급이 육군 중장에 이르렀다. 광복 후 일본에서 평민으로 생활하다 1963년 중병을 앓는 몸으로 귀국해 바로 병실에 입원해야 했다.

사진은 1970년 4월 28일 결혼 50주년을 맞은 이방자(서 있는 세 사람 중 가운데) 여사가 아들 이구(1931~2005·이 여사 왼쪽)씨 부부와 함께 케이크를 자르는 모습이다. 입원 중이라 보이지 않는 영친왕은 이날 자신이 없는 가운데 금혼식을 치른 지 나흘 만에 세상을 떴다.

영친왕의 아들 이구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건축과를 졸업하고 8년 연상의 우크라이나계 미국인 줄리아 멀록(사진 오른쪽)을 만나 결혼했다. 귀국 후 모친과 함께 창덕궁 낙선재에 기거하며 이구는 대학에 출강하는 등 사회활동을 했다. 그러나 멀록과의 사이에 자식이 없어 종친회로부터 압력을 받다 결국 1982년 이혼했다. 이혼 후에도 종친회와 갈등을 빚다 결국 일본으로 다시 건너간 그는 무당 아리타 가누코와 동거하기도 했다. 2005년 7월 16일 이구는 장기 투숙 중이던 도쿄 아카사카 프린스 호텔 객실에서 숨을 거두었다. 이 호텔은 이구가 태어난 자리였다고 한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3-18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