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꽃이 주는 삶의 행복/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지방시대] 꽃이 주는 삶의 행복/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입력 2013-07-09 00:00
업데이트 2013-07-09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서정욱 배재대 심리철학과 교수
고대 그리스 신 중 제우스의 아들 탄탈로스는 인간에게 좋은 신이다. 탄탈로스는 신들로부터 사랑을 받아 늘 신들의 향연이나 회의에 참가하였으니 그의 오만함은 하늘을 찔렀다. 그는 신들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자신의 아들 펠롭스를 죽여 그 고기를 신들에게 먹게 한 다음 인간들에게 그 사실을 알렸다. 그뿐만 아니라 신들만 이용하는 넥타르, 술, 혹은 고기를 훔쳐 인간들에게도 나누어 주었다. 이 모든 사실을 알고 화가 난 신들이 탄탈로스를 지옥으로 추방하여 언제 죽을지 모르는 공포 속에 살게 했다. 하지만 탄탈로스의 이런 행동으로 인간들은 신들의 삶을 어느 정도 엿볼 수 있었다.

바로 이 탄탈로스의 딸 니오베는 아들·딸 열넷을 낳았는데, 그중 막내딸이 클로리스다. 바로 이 클로리스가 꽃과 번영을 주관하는 여신인데, 꽃의 여신이 될 때까지는 참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테베 사람들은 제우스와 함께 아폴론과 아르테미스만 낳은 레토 여신을 숭배했다. 니오베는 테베 사람들이 자신을 숭배하면 더 많은 자식을 얻을 것이라며 레토를 자극했다. 화가 난 레토는 아들들에게 니오베의 자식들을 모두 죽여 달라고 부탁했다. 이들은 바로 니오베의 자식들을 죽이기 시작했는데, 다행히 막내 클로리스만은 살아남았다.

살아남은 클로리스를 서풍의 신 제피로스가 보고 사랑에 빠져, 그녀를 꽃의 신으로 만들어 주었다. 꽃에 대한 모든 능력을 부여받은 클로리스는 어떤 꽃이든 피고 지는 것을 마음대로 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마음만 먹으면 항상 새로운 꽃을 만들 수 있었다. 이후 클로리스의 능력에 따라 많은 꽃들이 생겨났으며 모든 꽃은 피고 졌다.

요즘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을 갖고 운동을 하는데 걷기와 달리기가 대세다. 대전시내 3대 하천에도 수변공원과 함께 좋은 길들이 만들어져 있다. 그런데 그 길을 걷거나 달리다 보면 한 가지 재미가 더해진 것이 있으니 바로 꽃길이다. 대전시 하천관리사업소에서 몇 해 전부터 열중해온 하천 정비사업 덕분이다. 그중에서도 ‘3대하천 꽃단지(꽃길) 조성’을 위해 참 많은 예산과 정성을 기울인다.

봄에는 유채꽃, 여름에는 메밀꽃, 가을에는 코스모스, 그리고 겨울에는 억새와 갈대 길이 조성되어 있으니 운동하는 사람의 눈과 마음이 즐겁다. 전국적으로 꽃 축제를 통해 재정을 충당하는 지역이 적지 않다. 하지만 너무 상업성에 치우쳐 찾는 이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대전의 꽃길은 그런 인위적인 꽃 축제 행사가 아니라 시민들의 눈과 마음을 즐겁게 해주기 위한 노력이어서 정말 좋다.

탄탈로스는 신보다 인간을 먼저 생각했고, 니오베는 자식이라는 풍요를 주었다. 클로리스는 꽃으로 색다른 즐거움과 행복을 느끼게 했다. 1년 내내 꽃길로 조성된 3대 하천을 걷거나 뛰노라면 사람을 먼저 생각한 신들이 떠오른다. 이것이 바로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행정이 아니겠는가. 대전에 사는 즐거움 중 한 가지로 꽃을 꼽는다면 너무 낭만적인가?

2013-07-09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