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공예 문화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이칠용 한국공예예술가협회장

[기고] 공예 문화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이칠용 한국공예예술가협회장

입력 2013-07-12 00:00
업데이트 2013-07-12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칠용 한국공예예술가협회장
이칠용 한국공예예술가협회장
옛 서울역사(驛舍)가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 ‘문화역 서울 284’에서는 지금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3’전이 개최되고 있다. 지난 4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려 전 세계 미술인들로부터 감탄사를 이끌어 내면서 우리 공예 문화의 수준을 보여준 전시회의 귀국전이다. 밀라노 전시회를 돌아본 세계적인 평론가 크리스티나 모로치는 당시 한국 공예품이 “그냥 모던한 것이 아니라 슈퍼 모던하다”고 극찬했다. 세계 최고의 첨단 정보기술 및 전자 제품을 만들어 내는 한국인들의 솜씨가 어디에 원천을 두고 있는지를 확인시켜 주는 전시회라는 평가도 있었다.

5월 영국에서 열린 프리미엄 공예 상품전 ‘컬렉트’(Collect)에서는 옻칠공예가 정병조 선생의 작품이 영국박물관(British Museum)과 빅토리아 앨버트 미술관에 소장품으로 팔리기도 했다. 모두 유럽 여행 코스에 빠지지 않고 들어 있을 만큼 세계적으로 유명한 박물관이다. 특히 영국박물관은 당초 한국 공예품을 구매할 계획이 없었으나 작품에 매료되어 긴급 위원회까지 구성했다고 한다.

한국에서 전통공예라고 하면 현대와 동떨어진 값싼 기념품이나, 과거의 유물로 생각한다. 하지만 세계 시장에서 한국 공예품은 단순한 전통공예품의 복원이나 복제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아니다. 높은 예술성을 인정받으며 한국 문화의 높은 수준을 세계인에게 알리는 첨병 역할을 하고 있다.

문제는 유럽 현지의 전시회를 찾은 한국인들도 대다수가 우리 공예품의 수준을 보면서 외국인들과 똑같이 눈을 비비고 다시 본다는 데 있다. 전시된 공예품이 자신들의 것이면서도 그동안 대해본 적이 없었고, 가치를 평가할 기회도 없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외국 공예 전문가들이 오히려 한국인들이 공예 문화의 소중함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데 안타까움을 표시하는 모습이었다.

실제로 국내에는 공·사립 미술관도 많고 대안전시공간도 늘어나고 있으나 공예품을 위한 번듯한 전시 공간은 찾아보기 어렵다. 최근에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이 경복궁 옆 소격동에 새로 들어서고 있지만 전통공예 전문의 대형 전시 시설은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 공간이 없으니 공예품이 지닌 특유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내보일 기획전시도 당연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그런 점에서 소격동의 서울관으로 옮겨가면서 비게 되는 덕수궁의 현대미술관 서울분관 자리는 당연히 ‘대한민국 공예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모든 공예인들의 소망이다. 덕수궁이 어렵다면 ‘문화역 서울 284’가 공예 전문 공간으로 탈바꿈한다면 한국 공예의 구심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행스럽게도 박근혜 정부는 문화융성을 국정기조로 내세우고 있다. 공예문화의 예술화, 산업화, 세계화가 탄력을 받게 되면 공예인들은 수많은 제자에게 자신의 역량을 전수할 수 있다. 모르긴 해도 수만명을 즉시 전수자로 받아들여 고용 창출에도 한몫 단단히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현재 국회에 계류되어 있는 공예문화산업진흥법도 조속히 제정 절차를 마쳐 공예 산업이 한 단계 더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으면 한다. 공예를 통한 또 하나의 독특한 고품격 한류를 꿈꾸어 본다.

2013-07-12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