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미신이 과학이 될 때/은희준 KISTI Reseat 프로그램 전문연구위원

[기고] 미신이 과학이 될 때/은희준 KISTI Reseat 프로그램 전문연구위원

입력 2013-10-03 00:00
업데이트 2013-10-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은희준 KISTI Reseat 프로그램 전문연구위원
은희준 KISTI Reseat 프로그램 전문연구위원
과학사에서 미신같이 황당하게 시작된 일이 정통 과학기술로 발전한 사례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 좋은 예가 중세 유럽에서 붐을 이뤘던 연금술이다.

연금술사들은 철 같은 보통의 금속을 금이나 은 등 귀금속으로 바꾸기 위해 과학기술에 종교나 철학 사상을 도입하기도 했고, 필요할 경우 주술이나 마술 같은 신비적 요소를 가미하기도 했다. 이처럼 미신적 요소로 뒤범벅이 된 연금술은 당시에는 주류 사회의 냉대를 받았으나, 그들의 노력은 현대 화학과 의학에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미신과 과학기술이 시대를 뛰어넘어 상호 입장을 수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한 예이다.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2013년 현재 국가연구개발 투자액과 연구개발 인력 규모에서 각각 세계 7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허등록 수와 SCI 논문 수도 세계 10위권이어서 우리나라 연구개발의 양과 질은 모두 세계 정상급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이러한 외형적 자산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과학기술 현실에 숙명처럼 따라붙는 꼬리표가 하나 있으니, 바로 혁신과 창의 부족이다. 이것이 없으면 결코 선도자가 될 수 없으며, 따라서 우리의 당면 과제는 과학기술의 혁신과 창의를 확보하는 것이다.

1991년 소련 붕괴 직전에 정부의 과학기술 대표단의 일원으로 소련을 방문한 적이 있다. 소련 과학기술자들과 대화를 나누던 중 뜻밖의 말을 들었다. 소련에서는 연구계획서 없이 연구원이 해당 간부와 직접 대화를 나누어 연구비와 연구내용 등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그들은 계획서라는 말도 우리로부터 처음 듣는다며 신기해했다. 모르긴 해도 그 당시 소련에서도 우주 개발이나 핵 개발 같은 대형 사업에는 치밀한 계획서가 따랐을 것이다. 그러나 몇몇이 수행할 수 있는 중소 규모의 과제는 선정부터 최종평가에 이르기까지 연구원 개개인에게 최대한의 자율권을 준 것이다. 이처럼 개방되고 유연한 제도는 연구개발의 혁신과 창의를 가능하게 하였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방대한 양의 기초연구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과학기술의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는 주제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이다. 그러나 어떤 아이디어가 혁신으로 이어질지는 아무도 모른다. 아마 스티브 잡스도 자신이 잉태한 스마트폰이 지금처럼 혁신의 아이콘이 되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구 소련의 과학자들이 계획서 없이 연구했다는 것은 그 과정에 창의와 혁신이 끊임없이 녹아들 여지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다 보니 때로는 황당한 아이디어도 있었을 것이고, 실패한 과제도 있었을 것이다. 역설적으로 우리의 연구관리 제도는 너무 완벽해서 이 제도를 따를 때 혁신은 고사하고 계획서와 평가서를 작성하면서 이미 연구 에너지의 절반을 소진한다는 자조가 나올 정도이다. 이 틀을 깨 연구개발 계획 단계부터 연구자들에게 더 많은 자율성을 허용하여 혁신적이지만 때로는 미신처럼 황당해 보이는 아이디어까지 포용할 자세를 갖춰야 할 것이다. 황당한 아이디어의 참된 가능성에 대한 판단을 정해진 잣대로 획일적으로 할 때 과학기술의 혁신과 창의는 우리에게서 영원히 멀어질 수 있다.

2013-10-03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