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 선전전에서 전략커뮤니케이션으로/황상재 한양대 사회과학부 교수

[글로벌 시대] 선전전에서 전략커뮤니케이션으로/황상재 한양대 사회과학부 교수

입력 2013-12-02 00:00
업데이트 2013-12-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황상재 한양대 사회과학부 교수
황상재 한양대 사회과학부 교수
21세기 미디어, 정보 시대에는 탱크와 미사일을 동원한 물리전에서 적군을 굴복시켜도 일반인들 마음을 사는 선전·심리전에서 실패하면 그 전쟁은 승리를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 미국· 이라크 전쟁이 준 교훈이다. 2004년 이후 대북심리전에서 손을 놓고 있던 정부는 연평도 해안 포격 사태 이후 공식적으로 다시 대북 선전전을 개시했으나 세간의 관심을 거의 받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 북한을 상대로 한 선전·심리전을 수행해 왔던 국정원 등의 정치 개입 논란이 일면서 다시 선전활동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정부는 대북 선전전을 담당하는 기관들이 논란에 휩싸이자 우선 급한 불부터 끄자는 땜질식 처방만을 남발하고 있다. 하지만 이 기회에 선전전이야말로 통일로 나아가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라는 근본적인 인식 전환 위에서 선전전에 대한 전면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미국은 심리전이라는 용어에 내포된 전쟁·기만 등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동맹국이나 지원국 또는 자국민들에게 공개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많은 제한이 따를 뿐만 아니라 효과도 반감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전략커뮤니케이션(strategic communication)으로 변경했다.

우리도 국내외적으로 부정적인 의미를 지닌 선전전·심리전이라는 용어 대신에 전략커뮤니케이션이라는 용어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또 앞으로 수행하는 전략커뮤니케이션은 과거 선전전처럼 우리 체제와 우리 것에 대한 일방적인 자화자찬이나 북한과 북한사회에 대한 비난과 매도가 아닌 북한 주민들을 이해하고 이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전환해야 한다. 외부로부터 북한 내부에 유입되는 정보에 대한 통제가 불가능할 정도로 변화하는 북한 사회에 일방적인 선전은 오히려 북한 주민들의 반감만 불러일으킬 뿐이다.

국정원이나 국방부 같은 특정 정부기관에서만 전략커뮤니케이션을 전담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정부의 모든 부처, 우리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전략커뮤니케이션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인식 전환 또한 필요하다. 의료계, 학계, 경제계 등 북한 사회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민간 교류를 확장하고 관련 부처는 이러한 교류를 적극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태여 확성기를 들고 떠들지 않아도 민간인 교류와 접촉이 확대되면 이를 통해서 남한 체제 우수성과 가치 등이 북한사회에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을 것이다.

탈북자들이 북한 주민들에게 전하는 이야기야말로 가장 효율적인 전략커뮤니케이션이다. 탈북자 수가 2만 5000명이 넘는다고 한다. 이들 중 상당수가 북한에 남아 있는 가족들에게 송금하거나 중국을 통해 통화하고 있다. 이들이 남한 사회에 적응해서 잘 살게끔 도와주는 것이야말로 북한을 상대로 하는 어떤 전략커뮤니케이션보다 효과적이다.

우리는 김일성 왕조의 폭정하에서 하루 끼니를 걱정해야 하는 피폐한 삶을 사는 북한 주민들이 통일만 되면 자발적으로 한국 체제에 편입되리라 착각한다. 남과 북은 같은 말과 글을 쓰는 한민족이지만 일제 강점기를 걸쳐 지금까지 같이 어울려 살아본 경험을 갖지 못했다. 통일이 된다고 해서 남한과 북한 주민들이 통일된 한반도에서 오순도순 살리라 기대하기 어렵다. 향후 전략커뮤니케이션이 통일 과정에서뿐만 아니라 통일 이후까지도 염두에 둔, 중· 장기적 계획이 필요한 이유다.

2013-12-02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