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스마트하게 산다는 것/고광현 애경산업 사장

[CEO 칼럼] 스마트하게 산다는 것/고광현 애경산업 사장

입력 2011-03-07 00:00
업데이트 2011-03-07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고광현 애경산업 사장
고광현 애경산업 사장
세상 참 많이 달라졌다. 요즘은 엄숙한 임원회의 시간 도중에 회의실 밖 세상과 문자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도 있고, 급한 경우에는 업무지시도 할 수 있다. 회의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인터넷이나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도 검색하고 전자우편도 확인할 수 있다. 불과 수년 전만 해도 상상도 못했던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회의시간에 이런 식으로 휴대전화를 쓴다는 걸 생각지도 못했는데 말이다. 과거에 비해 직장문화가 합리적으로 바뀐 것도 있겠지만 스마트폰의 출현이 가져온 변화인 것은 확실하다.

우리는 언제부턴가 ‘스마트’한 흐름 속에 살고 있다. 기업의 마케팅 전략의 일부일 수도 있겠지만 세상은 온통 ‘스마트’한 컨셉트로 뒤덮여 가고 있다. 스마트폰, 스마트워킹, 스마트쇼핑, 스마트러닝, 스마트그린….

사전적 의미에서 ‘스마트’는 ‘똑똑한, 지능화된, 지능형, 세련된, 멋진’ 이란 뜻이다. 실제로 요즘 ‘스마트하다’ 라고 얘기되는 것을 보면 정말 다양하다.

“너도 그거 아니? 밖에서도 집안 전등 끌 수 있어.” “난 그런 거 몰라.” 이때, 광고 속 목소리가 속삭인다. “당신은 모르셔도 좋습니다. 그린스마트 기술이 알아서 관리해 주니까요.” 스마트 홈을 표방하는 한 아파트 광고에 등장하는 대화다.

코카콜라는 ‘글라소 스마트워터’라는 ‘물’을 출시했다. 철저히 관리 통제된 환경에서 수증기를 증류해 순수한 맛을 지닌 제품을 탄생시켰고 제품 용기도 패션 소품에 버금갈 정도로 ‘스마트’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스마트라는 개념과 거리가 멀 것 같은 물을 놓고 생수회사들까지도 스마트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우리 회사는 스마트세제 ‘리큐’(LiQ)를 선보였다. 스마트와 세제라는, 조합이 참 안 어울릴 것 같은 단어인데도 붙여 놓으니 꽤 그럴싸해 보인다. 기존 세제량의 절반만 사용해도 세척력이 탁월하고, 세탁볼 겸용 계량용기가 세제의 정량 사용을 유도해 소비자가 자연스럽게 친환경을 실천할 수 있도록 했다. 최단 기간 매출 100억원 달성 기록도 세웠다. 가장 시장변화가 없는 생활용품 업계에서 ‘스마트’가 아니었으면 꿈도 못 꾸었을 기록인 셈이다.

일상에서도 스마트란 말은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 TV 연예프로그램에서 연애하고 싶은 남성에 대해 물어보면 상당수 여자들이 “스마트한 남자를 원한다.”고 말한다. 스마트란 뭔가 새롭고 매력적인 것의 대명사가 됐다.

정보화시대에서 다른 세상으로 넘어가는 물결 속에 ‘스마트’란 개념이 자리하고 있다. ‘장강(長江·양쯔강)의 뒷물결이 앞물결을 밀어낸다(長江後浪堆前浪)’고 했던가. 세상은 정보화시대에 이은 디지털시대를 밀어내며 등장한 스마트시대로 접어들었다.

LG경제연구원이 펴낸 ‘2020 새로운 미래가 온다’에서는 트렌드 변화를 이렇게 짚었다. “지난 15년간 디지털시대에는 한 방향으로 달려왔다. 더 빠른 속도, 더 많은 용량, 더 높은 집적도를 구현하기 위해 디지털시대는 쉼 없이 달려왔다. 그런데 이게 바뀌었다. 시대 변화의 주인공은 기술이 아니라 사람이다. 기술보다는 인식의 변화가 먼저이며, 방향성의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

좋은 기술이란 속도를 넘어 사람에게 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밖에서도 전등을 끌 수 있는 기술을 넘어 에너지까지 알아서 절약해 주는 스마트한 기술, 수증기를 증류한 정제수를 바탕으로 만든 인공 샘물, 세제가 소비자의 생활습관을 바꾸게 하고 자연스럽게 친환경에 동참하도록 스마트한 방향으로 이끄는 것처럼 말이다.

스마트 시대에는 스마트 컨슈머(consumer)도 있다. 제품 정보는 기본이고 비용에 비해 효용을 높인, 더 나아가 제품의 본질적인 효용을 넘어 보다 넓은 시야를 갖고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다. 결국 기업도 이런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스마트해지지 않을 수 없다. 스마트한 물결에 올라타지 않고서는 견딜 수 없는 시대인 것이다.
2011-03-07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