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락의 시시콜콜] 일본에선 언제쯤 다시 여왕이 즉위할까

[이종락의 시시콜콜] 일본에선 언제쯤 다시 여왕이 즉위할까

이종락 기자
입력 2020-10-09 13:02
업데이트 2020-10-09 13: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후미히토 왕세제 11월 8일 후계자 책봉
역대 일본 여왕 10대에 걸쳐 8명 즉위
1947년 이후 여성 일왕 즉위 제한
계승서열 3위 일왕 손자 전몰자묘 참배
계승서열 3위 일왕 손자 전몰자묘 참배 아키히토 전왕의 차남인 후미히토 왕자 부부가 아들 히사히토군을 동반하고 오키나와를 방문하고 있다. 후미히토 왕자는 11월 8일 일왕 후계자인 왕세제에 책봉된다. 아들 히사히토는 왕위 계승 2위가 된다.
서울신문DB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연기됐던 나루히토 일왕(뎬노)의 후계자를 책봉하는 의식이 다음 달 8일 열린다고 NHK가 9일 보도했다. 당초 일본 정부는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왕세제의 지위를 국내외에 선포하는 ‘릿코시’(立皇嗣) 의식을 지난 4월 19일 개최하기로 했었다. 후미히토 왕세제는 지난해 5월 1일 아들이 없는 형인 나루히토가 왕위에 오르면서 왕세제가 됐다.

현재 일본 황실전범에는 덴노를 아버지로 둔 남성, 즉 ‘남계 남성’ 왕족만을 인정하고 있다. 때문에 나루히토 왕의 외동딸인 아이코 공주가 여왕으로 즉위할 수 없다. 결혼한 이후에는 평민이 돼 왕실에서 이탈해야한다. 일본 역사에서 여왕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역대 일왕 가운데 여왕은 10대에 걸쳐 8명(2명은 중임)이 있었다. 이들은 모두 아버지로부터 왕실 혈통을 물려받았지만 여왕의 자손이 왕이 되지는 못했다.

1947년 만들어진 일본 왕실전범의 왕위 계승 조항은 제국주의 시절인 1889년 메이지 일왕 때 만들어진 구 황실전범을 그대로 가져와 남성만 왕위를 계승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지금까지 여성 일왕이나 어머니가 왕족인 일왕을 인정하거나 여성 왕족이 결혼한 후에도 왕실에 남을 수 있는 ‘여성 궁가(宮家)’를 신설하는 방안이 논의돼 왔지만, 결론은 매번 뒤로 미뤄졌다.

2006년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여성여계(女性女系) 일왕을 인정하는 왕실전범 개정안을 제출할 방침이었지만, 그해 2월 후미히토의 부인 기코가 아들을 임신하면서 단념했다. 2012년 10월 민주당 정권 시절엔 여성 궁가 창설을 검토했지만, 그해 12월 2차 아베 신조 정권의 출범으로 논의가 중단됐다.

일본 왕실 가계도
일본 왕실 가계도
교도통신이 지난해 5월에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여성 일왕을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79.6%였다. 반대는 13.3%에 불과했다. 여왕 즉위가 가능하도록 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여론이 조성됐지만 일본 황실은 남성 왕족 규정을 고수했다. 그 결과 나루히토 남동생인 후미히토 왕세제가 왕위 계승 1순위로 그의 아들 히사히토 왕세손이 2순위로 결정됐다.

반면 영국, 네덜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벨기에 등 유럽에선 남녀를 불문하고 첫째가 왕위를 계승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실제로 영국의 경우 엘리자베스 1세와 빅토리아 여왕 재임시에 영토를 최대한 넓혀 영국을 ‘해가 지지 않는 제국’으로 만드는 등 최고 전성기를 구가했다.

여왕의 즉위 금지는 현재 일본의 남녀차별 문화와 관련이 있는 듯 하다.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남녀격차를 보여주는 세계경제포럼의 성별 격차지수(GGI, Gender Gap Index) 2019년 조사에서 일본은 153개국 중 121위를 차지했다. 일본의 여성의원 비율은 192개국 중 166위다.

오랫동안 ‘천황제’를 연구한 케네스 루오프 미국 포틀랜드 주립대 교수는 “결혼을 하지 않거나 결혼을 해도 아이를 낳지 않는 사람들, 성소수자 등 전 세계적으로 삶의 다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왕실에 들어간 여성은 남자를 낳아야 한다는 세계가 과연 언제까지 계속될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종락 논설위원 jr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