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30 세대] 비극/김현집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역사·철학과

[2030 세대] 비극/김현집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역사·철학과

입력 2021-11-11 19:54
업데이트 2021-11-12 04: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현집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역사·철학과
김현집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역사·철학과
끝이 끔찍하면 비극이라 한다.

고대 그리스에서 비극은 영웅의 특권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말했다. 비극의 주인공은 고귀하고 기품 있는 자라야 한다. 시시하거나 악으로 가득한 사람이 죽으면 관중은 반응이 없거나 오히려 박수를 칠 것이다. 우리의 숨을 멎게 하는 것은 커다란 영웅이 쓰러지는 모습이다. 소나무 한 그루가 쓰러지듯이. 추락은 높은 곳에서 할수록 아름답다.

누구도 비극(그리스의 연극, 비극)이 언제 어떻게 시작됐는지 모른다. 기원전 5세기 아테네에서 인기 있었던 비극, 그러나 100년 후 아리스토텔레스조차 비극이 무엇인지 그의 ‘시학’에서 묻는다.

2300년이 지난 오늘날 ‘비극’이라는 단어의 해석이 넓어졌다. 신문을 펼치고 인터넷 뉴스를 열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난 비극과 마주하게 된다. 극장에서의 비극은 왕이나 위인이었다. 이제는 평범한 일반인이다. 변한 건 없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했던 그대로이다. 우리는 ‘높이’를 조금 달리했을 뿐이다.

내가 요즘 아껴 가며 읽는 작가 시몬 베유(1909~1943)도 비극에 대한 연구가 깊다. 무대가 아닌 삶에서의 지혜를 베유는 비극에서 찾았다. 똑같은 고통도 선의로 버티기는 힘들단다. “달걀 하나를 구하기 위해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미동 없이 기다리는 그들도 사람 목숨을 구하기 위해 같은 행동을 할 수는 없는 것과 같다.” 낮은 감정(원문에서는 motif)엔 에너지가 많다. 이를테면 두려움, 시기, 명예욕이다. 하지만 높은 감정에서 얻는 에너지는 한정돼 있다. 극한의 어려운 상황에 처하면 우리는 낮은 감정에서 힘을 받는다. 그렇게 비굴해지고 타락한다.

숭고하고 아름다운 것만을 사랑하며 좇다가 고통을 견디지 못해 벼랑에 다다르고 몰락하는 것, 영웅의 이야기이다. 리어왕의 비극이다. 그리스 비극이다.

영웅을 끝까지 변호해 줄 이유는 없다. 영웅은 자신의 무게 탓에 쓰러진다. 보통 사람은 추락할 수 있는 높이에 다다르지도 못한다. 실패가 비극의 주제이다. 대단한 문학이다.

위대한 실패가 있다면 천박한 성공도 있다고 베유는 보았다. 천박한 마음은 그대로인 채 숭고한 것을 원한다 해서 자신이 더 나은 사람으로 거듭났다고 생각하는 것은 순전히 우리의 착각이다. 베유는 전혀 다르게 조언한다. 하찮고 작은 것일수록 오히려 고귀한 마음에서 원해야 한다고.

비극이 필요하다. 천박한 실패와 위대한 성공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인간을 마치 곤충처럼 누가 이롭고 해로운지 나누길 거부해야 한다. 칼을 땅에 묻고 그 위에 자신의 몸을 던진 아이아스는 ‘좋은 사람’이 아니었다. 아가멤논은 딸을 희생시켜 제물로 바쳤다. 오레스테스는 어머니를 죽였다. 헤라클레스는 온 가족을 학살했다. 아테네인들은 사당과 무덤에 음식과 술을 바치며 이 영웅들을 영웅이라는 이름으로 조상 모시듯 섬겼다.
2021-11-12 2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