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골프요? 저 안 하는데요/임병선 체육부장

[데스크 시각] 골프요? 저 안 하는데요/임병선 체육부장

입력 2013-01-18 00:00
업데이트 2013-01-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임병선 체육부 선임기자
임병선 체육부 선임기자
프로야구 LG의 투수 봉중근(32)이 지난 연말에 낸 책 ‘야구공 실밥 터지는 소리’에 이런 구절이 나온다.

‘저도 관심을 가져 보려고 노력해 봤어요. 그런데 말이죠, 지나가다 보면 그냥 가만히 서 있어요. 투수라는 사람은 포수라는 사람을 보고 가만히 서 있다가 가끔 공을 던지고, 타자도 그렇고, 밖에서 수비하는 사람들도 그냥 가만히 서 있다가 어쩌다 뛰는 것 같기는 한데 너무 한산한 느낌이랄까요?’

야구팬을 남편으로 둔 아내의 하소연이다. 그런데 주위에 골프가 좋아 죽겠다는 이들을 잔뜩 둔 나도 이렇게 뇌까릴 수 있지 않을까.

‘사실 전 한번 해보려고 노력조차 안 했어요. 골프의 7할 이상은 좋은 공기 마시며 걷는 일인 것 같은데 중계화면은 서너 사람이 순서를 정해 공을 날리거나 굴리는 장면만 보여줘요. 정말 필요 이상으로 골퍼의 걷는 행위가 감춰진다는 느낌이랄까요?’ 뭐 이런 식 말이다.

잠실야구장에 8000원 내고 들어가 좁아터진 외야석 의자에 엉덩이를 얹은 채 서너 시간 야구 경기를 지켜보곤 한다. 봉중근이 쓴 대로 ‘3스트라이크×4볼×9회=108땀(야구공 실밥 수)’이 선사하는 오묘함에 빠져드는 것.

그런데 골프는 그만한 재미를 안기지 못한다. 가끔 미국 골프 중계를 보는데 여간 곤혹스럽지 않다. 사람들이 ‘저 사람은 골프도 하지 않으면서 왜 보는 거지?’라고 생각하는 것 같아서다.

주워들어 골프 룰은 대충 아는데 도통 하고 싶은 마음은 들지 않는다. 며칠 전 한 신문에 대학교수가 기고한 글 ‘내가 골프를 안 치는 이유’를 읽으며 속으로 옳다구나 싶었다. 그이는 골프를 치지 않는다고 다른 형제들로부터 꽤나 공박을 당했던 모양이다. ‘시간을 필요 이상 소비해야 한다든가, 만만치 않은 비용, 나아가 (자신의) 직업적 정체성과는 잘 어울리지 않는 이미지 탓’에 골프를 하지 않는다고 썼다. 매번 ‘왕따’가 된다고 했다.

뭐라고? 직업적 정체성? 체육부장이면 당연히 하는 운동으로 꼽히는 골프를 안 하는 나는 어쩌라고 이런 말씀을 하실까. 그 교수는 미국에서도 골프는 비즈니스맨이나 부유층의 스포츠란 고정관념이 있다며, 한 발 나아가 ‘취향의 문제라 여길 수 있는 운동과 여가 선용에 있어서도 자신의 계급(층)적 이해관계나 직업적 정체성, 가치관, 자존감 등이 깊이 연관됨을 부인하긴 어렵다’고 적었다. 어쩌다 내게 골프하느냐고 묻는 이들은 내 대답에 아무런 대꾸도 않은 채, 마치 세상 사람은 골프를 하는 이와 하지 않는 이로 나뉜다는 듯 자기들끼리 신나서 골프 얘기를 이어간다. ‘체육부장이 골프도 안 해? 저런!’ 하는 표정이나 본새로 말이다.

거창한 논리를 들이밀 필요도 없다. 어느 날 높은 봉우리에 올라 산 그리메를 훑다 보면 마치 중고교 다닐 때 ‘바리캉’으로 고속도로 내듯 잘려나간 친구녀석 머리카락처럼 생채기를 드러낸 골프장들이 눈에 들어온다. 그걸 제대로, 아픈 가슴으로 볼 수 있는 사람이라면 골프 좋다는 얘길 함부로 꺼내기가 참 민망할 것이다.

보통 18홀 코스면 골프장 면적이 10만~12만㎡가 되는데, 이 공간을 채우며 즐기는 이들의 머릿수를 생각하면? 이 광활한 우주에 찰나를 빌려 사는 이로서 무람하다는 생각마저 드는 것이다.

그것만으로도 골프하지 않는 이유는 충분하다.

bsnim@seoul.co.kr

2013-01-18 30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