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택규의 문화 잠망경] 뭔가에 여생을 바친다는 것/번역가

[김택규의 문화 잠망경] 뭔가에 여생을 바친다는 것/번역가

입력 2021-11-10 17:34
업데이트 2021-11-11 02: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택규 번역가
김택규 번역가
독서 모임에서 오랜만에 두 제자를 만났다. 각기 출판사와 웹소설 기획사에서 일하는 그들은 모두 내년 출간 계획을 짜느라 눈코 뜰 새가 없다고 했다.

“출간 계획은 윗선에서 짜는 것 아닌가? 너희는 그렇게 바쁠 게 없을 것 같은데.”

“아니에요, 선생님. 그게 바로 지금 저희가 할 일이에요.”

나는 그제야 그들이 벌써 팀장급이 돼 각기 직장에서 미래 사업을 기획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선생인 내 눈에는 여전히 어리게만 보이지만 사실 그들은 이미 경험과 감각 면에서 한창 무르익은 능력을 발휘하는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인 것이다.

순간 며칠 전 중문과 교수로 일하는 선배에게 들은 이야기가 떠올랐다.

“이제 내게 남은 일은 앞으로 대학 구조 조정기에 우리 학과가 살아남을 수 있게 전공 방향과 커리큘럼을 잘 정리해 후배 교수들한테 물려주는 거야.”

그때 나는 조금 어이가 없었다.

“그게 무슨 난데없는 소리예요. 형, 퇴직하려면 얼마나 남았는데요.”

“나 6년 후면 퇴직이야.”

아연한 내 눈에 새삼 성글어진 선배의 머리숱과 힘 빠진 어깨가 선명하게 비쳤다.

대만의 인문학자 양자오는 인간이 언젠가 죽는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지만 다들 적어도 내일, 내년에는 자신이 죽을 리 없다고 철석같이 믿으면서 꼭 영원히 살 것처럼 하루하루를 산다고 말한 바 있다. 내가 딱 그런 꼴이다. 그래서 나도 나이 들어 가는 것을 까맣게 잊고 있다가 이렇게 주변 사람들의 변화를 인지할 때마다 깜짝 놀라곤 한다.

양자오는 왜 그런 얘기를 했을까. 유한한 존재인 인간이 그 유한성을 망각한 채 살아가는 게 일종의 자기 최면이라면 도대체 어떻게 사는 게 옳다는 것일까. 시시각각 줄어드는 자기 수명을 늘 체크하면서 지금 남아 있는 과업이나 못다 이룬 꿈에 열중하라는 것일까.

그게 맞다면 계산해 보자. 2005년 78.6세였던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2050년 86세가 될 것이라고 한다. 도중에 의외의 죽음을 맞지 않는다고 가정했을 때 내게 남은 수명은 36년, 날짜로 치면 1만 3140일이다. 휴대폰 달력의 오늘자 메모란에 13140을 찍고 매일 13139, 13138, 13137… 이렇게 역순으로 줄여 가며 여생이 다 사그라질 때까지 뭔가에 집중해야 하는 걸까. 그렇다면 내게 그 ‘뭔가’는 또 무엇일까.

중국의 저명한 학자 이중톈은 2013년 66세의 나이에 신화 시대부터 덩샤오핑 시대에 이르는 중국사 전체를 36권으로 정리하겠다고 선포하면서 그것이 자신의 마지막 역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2021년 현재 ‘이중톈 중국사’의 기술은 제23권 명나라 영락제 시대에 이르렀다. 그는 어느덧 74세가 됐는데도 여전히 중국 남방의 어느 소도시에서 집필에 열중하고 있다.

이 시리즈의 한국어판 역자인 나는 이 노장의 열정이 놀랍고도 두렵다. 왜냐하면 나는 이제 고작 제16권을 번역했기 때문이다. 그는 끝내 죽음과의 경주에서 승리해 36권을 완간할 수 있을까. 또 나 역시 무사히 한국어판 36권을 완간할 수 있을까. 하지만 ‘이중톈 중국사’는 그의 마지막 역작일 뿐 나는 그 시리즈의 한국어판을 내 마지막 역작으로 삼고 싶은 생각은 없다. 어정쩡한 50대 초입에서 그저 배회하고 있을 뿐 이중톈처럼 어떤 과업의 완수를 내 삶의 종착점이자 과녁으로 삼고 나 스스로를 쏘아 날리겠다는 마음가짐이 돼 있지 않다.

이따금 강남의 빌딩숲 사이를 헤맬 때면 난 어떤 스산한 느낌에 머릿속이 아득해지곤 한다. 언젠가 나라는 존재가 사라진 뒤에도 강철과 콘크리트와 통유리로 이뤄진 이 거대한 구조물들은 계속 멀쩡히 이렇게 우뚝 서 있을 게 아닌가.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할까. 내 눈이 지각하고 내 의식이 재구성하지 않는 세계가 어떻게 내 사후에도 여전히 건재할 수 있단 말인가. 그렇게 존재 자체가 미심쩍은, 내가 부재하는 미래의 세상을 위해 내가 뭔가에 여생을 바치는 게 과연 지혜로운 일일까. 사실은 오늘 이 시간에도 내가 속한 이 세상의 운행을 위해 내게 부과된 역할을 바쁘게 수행하며 살아가면서도 문득문득 이런 허황된 상념에 빠지곤 한다.
2021-11-11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