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窓] 오동 꽃/이재무 시인

[생명의 窓] 오동 꽃/이재무 시인

입력 2016-05-27 18:08
업데이트 2016-05-27 23: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재무 시인
이재무 시인
나도 누구나처럼 사계 가운데 봄을, 그 속의 오월을 좋아하고 즐긴다. 과연 계절의 여왕답게 오월의 하늘은 높고 밝은 가운데 햇살은 갓 찧어 낸 떡쌀처럼 눈부시게 곱고 부드러워 바라만 보아도 현기가 인다. 연초록의 광휘가 일순간 들것이 되어 몸과 마음을 들어 올린다. 꽃은 피어 열흘을 붉지만 초록은 지치도록 푸르게 살면서 날마다 새로운 그늘을 지상으로 흘려보낸다. 아침에 태어나 저녁에 죽는 그늘을 나는 사랑한다. 오월 수목들에서 흘러나오는 그늘은 더욱 푸르고 싱싱하다.

어찌 초록뿐이랴. 오월에 피어나는 꽃들은 그 자태가 얼마나 곱고 아름다운가. 꽃들은 저마다 고유한 빛깔과 향기로 은은하고 화려하고 찬란하다. 등꽃, 붓꽃, 찔레꽃, 엉겅퀴 꽃, 오동 꽃, 작약, 라일락, 아카시아, 장미 등속. 나는 오월의 꽃들을 모두 좋아하지만 특히 오동꽃을 더 선호하고 아끼는 편이다.

내가 오동 꽃에 유난스레 애착을 부리는 데는 나름의 이유가 없지 않다. 오동나무가 피우는 꽃이기 때문이다. 오동나무는 참으로 쓸모가 많은 나무이다. 아시다시피 오동나무로 장롱을 만들 수 있고 거문고가 되었다가 관이 되어 죽음을 담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나 어릴 적 동네 어귀엔 참나무와 함께 오동나무가 많았다. 늦봄과 여름날의 등하교 때에 나는 자주, 길가에 서 있던, 은밀한 동무였던 오동나무의 그 커다란 잎사귀들이 드리운 그늘에 들어가 더위 먹은 책가방을 쉬게 하였다. 나는 그 나무에게,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은 비밀들을 털어놓았고 억울하고 분한 일이 있을 때는 그 품에 안겨 어깨를 들썩이기도 하였다.

그러던 어느 해 큰비가 내려 저수지 둑이 터진 날 예의 오동나무가 몸을 감추었다. 이별의 쓰라린 경험을 최초로 안겨 준 오동나무 때문에 나는 한동안 실의에 젖어 지내야 했다. 그랬던 오동나무는 지금은 내 몸속에 뿌리를 내려 바람 불면 바람 분다고 날 저물면 날 저문다고 마음의 현 여섯 줄을 크게 울린다. 또 바람 드센 도심의 거리에서 동무들과 헤어져 홀로 골목을 돌아올 때는 저만큼 우뚝 멈춰 서서 그 큰 잎사귀들을 흔들어 댄다. 괜찮다고, 괜찮다고 흔들어 댄다.

나이 들어 춘사를 겪고 난 후 상심한 마음을 달래기 위해 무진 애를 쓰던 어느 해의 봄날도 이마에 꽃들을 가득 매단 채 오동나무가 나를 찾아왔다. 그즈음 나는 은밀하게 방에 들어가 수년을 살다가 죽어 버린 사련을 봉지에 담아 치우고 있었다. 내게서 시를 밀어내고 걸핏하면 수면 장애를 일으키던 애련을 나는 참지 못하고 조금씩 죽여 왔던 것이다. 시름시름 앓으면서도 삼 줄기처럼 질긴 목숨의 끈이, 밑 터진 봉지가 한순간 우수수 내용물을 쏟아냈을 때처럼 마침내 옭아맨 매듭을 풀어 버렸을 때, 내가 살던 아파트 베란다 밖 오동나무가 꽃을 피우고 있었다.

오동나무 속에는 얼마나 많은, 구성진 가락과 음표들이 살고 있을까. 골똘히 생각에 잠겨 있는 오동나무를 마주 대하거나 떠올리고 있으면 부지불식간 들끓는 소음의 부유물이 가라앉는다. 기골이 장대한 데다 과묵한 그에게서 나는 참 많은 이야기를 듣는다. 구업 짓지 말라는 것과 떠나온 것들에 연연하지 말라는 것과 인과에는 반드시 응보가 따른다는 것을 옹알옹알 저만 알아듣는 소리로 조근조근 솥뚜껑처럼 굵은 이파리들 아래로 무겁게 떨어뜨린다. 마음이 갈피 없이 흔들릴 때 나는 오동나무와 꽃을 보러 가거나 떠올린다. 내가 오동나무와 꽃을 특별하게 좋아하는 것은 두꺼운 추억과 더불어 성찰의 한 계기를 마련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2016-05-28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