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김칫소/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김칫소/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10-28 20:20
업데이트 2020-10-29 0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며칠 새 가을이 깊어졌다. 떨어지는 낙엽에도 ‘또르르’ 눈물짓는 계절이라지만 어쩌랴, 삶은 현실인 것을. 슬슬 김장을 준비해야 할 때가 된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 김장은 11월 초 강원ㆍ경기 북부에서 시작돼 서울은 11월 말, 남부지방은 12월 초에 집중되다가 12월 하순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4인 가족 기준 지난해(22.3포기)보다 줄어든 21.9포기, 비용은 30만원 안팎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김치는 양념을 만들 때 넣는 재료에 따라 집집마다, 지역마다 맛이 달라진다. 새우젓에 적은 양의 액젓을 사용해 깔끔하고 시원한 중부식 김치에 비해 전라도식 김치는 여러 종류의 젓갈을 듬뿍 넣어 깊고 풍부한 맛을 자랑한다.

김치를 만들 때 절인 배추나 무에 넣는 양념으로 파ㆍ무채ㆍ젓갈 따위의 고명을 고춧가루와 함께 버무린 것을 나타내는 단어가 있다. 바로 ‘김칫소’이다.

‘소’는 송편이나 만두 따위를 만들 때, 맛을 내기 위해 익히기 전에 속에 넣는 여러 가지 재료를 뜻하는 말이다. 송편에는 팥이나 콩ㆍ대추ㆍ밤 따위를 사용하고, 만두에는 고기ㆍ두부ㆍ채소 따위를 사용한다.

속에 넣는 재료라는 생각에 ‘김치속’ 또는 ‘만두속’처럼 ‘속’으로 쓰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만두에 소를 적게 넣으면 맛이 없다” 또는 “소를 많이 넣어서인지 김치 맛이 좋다”처럼 써야 한다.

oms30@seoul.co.kr
2020-10-29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