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늘리다와 늘이다/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늘리다와 늘이다/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11-04 20:22
업데이트 2020-11-05 02: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겨울맞이 옷장 정리 끝에 세탁소를 찾았다. 오랜만에 본 세탁소 주인에게서 “한동안 허리 사이즈를 ‘늘리러’ 오는 손님이 많았었다”는 얘기를 들었다. 코로나19에 따른 재택근무의 부작용으로 확‘찐’자가 늘었다는 게 우스갯소리만은 아니었나 보다.

‘늘다’에서 파생된 말로 단어 간 쓰임의 경계가 애매해 헷갈리는 말이 있다. ‘늘리다’와 ‘늘이다’가 그것이다.

‘늘리다’는 ‘물체의 넓이, 부피 따위를 본디보다 커지게 하다’, ‘수나 분량 따위를 본디보다 많아지게 하거나 무게를 더 나가게 하다’, ‘힘이나 기운, 세력 따위를 이전보다 큰 상태로 만들다’ 등의 뜻을 가진 동사다. ‘주차장의 규모를 늘리다’, ‘학생수를 늘리다’처럼 쓰인다.

‘늘이다’는 ‘본디보다 더 길어지게 하다’, ‘선 따위를 연장하여 계속 긋다’란 의미를 지닌다. ‘고무줄을 늘이다’, ‘바짓단을 늘이다’, ‘엿가락을 늘이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기존의 길이에서 힘에 의해 확장된다는 느낌이 들거나 커튼이나 발처럼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느낌이 들면 늘이다를 쓴다.

즉 길이는 늘이다, 길이 이외의 것은 늘리다가 맞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다면 허리 사이즈는 ‘늘리는’ 걸까 ‘늘이는’ 걸까. 이에 대해 국립국어원은 ‘허리 둘레(길이)를 길어지게 한 것이므로 ‘허리 사이즈를 늘이다’로 표현하는 것이 바르다’고 답해 놓았다.
2020-11-05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