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유권자 적극 투표로 정치판 망언에 책임 묻자

[사설] 유권자 적극 투표로 정치판 망언에 책임 묻자

입력 2012-12-18 00:00
업데이트 2012-12-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 아무리 다급한 처지라 해도 정치인이라면 결코 해서는 안 되는 것이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계층과 세대를 두 편으로 가르는 일이다. 사회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 궁극의 목적인 정치가 이런 편 가르기에 앞장선다면 정치 스스로 존재 가치를 부정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대선이라는 중대 선거를 맞아 투표율의 높고 낮음에 맞춰 제 유불리를 따지고, 이를 위해 누구는 투표하고 누구는 말라는 식의 정제 안 된 말을 내뱉는 것은 유권자에 대한 모독이자 반민주적 배임 행위라 할 것이다. 안타깝게도 그제 여야 중진 입에서 이런 망언이 나왔다.

새누리당 김무성 총괄선거대책본부장은 기자들과의 오찬에서 “우리의 전략은 (지지 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중간층이 ‘이쪽도 저쪽도 무슨 소리를 하는지 알아듣지 못하겠다’면서 투표 자체를 포기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표를 얻겠다고 나선 후보 진영의 총괄책임자가 투표 포기를 전략으로 삼는다니, 어처구니없는 노릇이다. 논란이 되자 “흑색선전이 난무해 부동표가 기권하면 결국 우리가 유리할 것이라는 취지”라고 해명했으나, 흑색선전에 따른 정치 무관심을 유리한 구도로 보는 발상 또한 선거의 근간을 흔드는 사고라 할 것이다.

민주당 정동영 상임고문의 발언은 이보다 몇 발 더 나갔다. “이번에 하는 청춘투표가 인생투표야. ‘너 자신에게 투표하라!’ 꼰대들 ‘늙은 투표’에 인생 맡기지 말고 ‘나에게 표를’ 던지는 거야.”라는 글을 한 신문의 대담기사에서 퍼다 자기 트위터에 실었다. 8년 전인 2004년 17대 총선 때 ‘노인 폄하 발언’으로 혼쭐이 났던 그다. 자기 정파의 유불리만을 셈하며 세대를 바라보는 인식이 전혀 바뀌지 않은 듯하다. 뒤늦게 글을 내리면서는 비판 댓글에 대해 “이런 게 ‘십알단’이라는 거군요. 지우겠습니다.”라고 했다. ‘십알단’은 ‘십자군 알바단’의 줄임말로, 보수 성향의 네티즌들을 비꼬는 말이다. 정당한 비판조차 올바로 수용하지 못하는 그의 그릇을 말해준다.

유권자를 우습게 보는 이런 발상을 심판하는 길은 오직 하나, 적극적인 투표뿐이다. 실망스럽다고 정치를 외면한다면 정작 외면당하는 것은 유권자 우리 자신임을 알아야 한다. 세대와 지역, 계층 가릴 것 없이 모두가 투표에 적극 참여할 때 민의가 바로 서고, 정치가 국민의 무서움을 제대로 알 것이다.

2012-12-18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