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삼성의 창의인재 육성, 재계로 확산되길

[사설] 삼성의 창의인재 육성, 재계로 확산되길

입력 2013-05-15 00:00
업데이트 2013-05-15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이 그제 새 정부의 창조경제 육성정책에 부응해 향후 10년간 1조 5000억원을 출연하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을 설립하기로 했다. 그동안 창조경제의 개념을 둘러싸고 혼선이 거듭된 터여서 삼성의 투자 결정은 그런 혼란을 잠재우고, 실행에 옮기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삼성의 정부에 대한 통 큰 화답이 산업계 전반에 창의산업을 키우는 동인으로 작용하기를 기대한다.

삼성은 다음 달 가동하는 미래재단을 통해 노벨과학상 수상과 소재 기술, 융합형 정보통신기술(ICT) 육성 등 3대 프로젝트를 집중 지원하게 된다. 올해 3000억원 출연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7500억원, 2022년에는 나머지 7500억원을 투입한다. 이번 투자 결정은 국가적으로도 미래 먹거리산업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하고 중차대한 결정이다. 정부의 정책과 지원만으론 ICT 융합산업을 만들고, 이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한계가 있다. 삼성도 캐시카우(수익원)의 두 축인 휴대전화, 반도체 이후의 신수종사업 발굴이 절실한 때이다. 삼성 미래재단이 기업 이익의 사회 환원 차원에 그치지 않고 연구자들 중에서 노벨상 수상자까지 배출하는 등 인재 양성과 혁신적 수익 모델을 창출하는 산실이 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대학과 국공립연구소, 중소기업 연구원에 100~200개의 모험적인 과제를 선정해 지원하는 계획은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개발자에게 연구개발 성과물의 소유권을 주겠다는 것은 진일보한 결정이다. 이는 일정한 투자금액을 떼가는 기존의 과학기술펀드와 달리 연구자의 창업연구 의욕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연구자에게 기간과 예산 자율권을 최대한 주기로 한 점도 눈길이 가는 대목이다. 창업벤처기업의 높은 실패율을 감안하면 도전적인 창업자들로선 더없이 든든한 지원군을 만나는 셈이다.

삼성 미래재단 출범이 다른 대기업의 동참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최근 2015년까지 U헬스 등 ICT융합산업 발굴에 1조 2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대기업의 참여는 중소·벤처기업이 대기업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다. 정부도 이참에 개방과 공유를 표방한 ‘정부 3.0’ 정책 기조에 맞춰 정책 DB자료를 적극 공개하는 작업에 나서야 한다. 삼성의 미래재단 출범이 재계로 확산돼 창조경제의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2013-05-15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