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식약처 높아진 위상만큼 제구실 하길

[사설] 식약처 높아진 위상만큼 제구실 하길

입력 2013-07-16 00:00
업데이트 2013-07-16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식품의약품안전처(옛 식약청)가 미국 존슨앤드존슨 자회사 드퓨이의 ‘ASR 인공 고관절’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된 것을 알고도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 인공고관절은 지난 2010년 8월 이 제품을 쓴 환자의 혈액에서 발암물질로 알려진 코발트와 크롬이 검출돼 인체에 유해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리콜 사태를 빚었다. 그런데도 식약처는 지난 3년간 이 제품의 회수 공표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 게다가 이미 시술돼 제품 회수가 어렵다면 추적 관리라도 해 환자들의 안전을 챙겨야 하는데 그러지도 않고 있다. 이는 분명 국민 건강을 최우선시해야 할 식약처가 직무유기한 것은 물론이고 기관 존립의 근본 이유마저 망각한 처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식약청도 이 제품의 부작용으로 미국 등에서 환자들의 소송이 줄을 잇고 있음을 알고 있었을 법하다. 2010년 12월 직원들을 대상으로 크롬의 위해성을 교육한 것만 봐도 알 수가 있다. 하지만 식약청이 한 조치라곤 고작 존슨앤드존슨 측과 병원 등에 환자들에게 알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낸 것뿐이라고 한다. 다른 나라 환자들은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아 제조업체를 상대로 소송까지 하는 상황인데 우리의 대다수 환자들은 아직도 제품이 리콜된 사실조차 모른 채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체를 끼고 살고 있다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한 환자는 수술한 부위 주변의 뼈가 녹아 앉기조차 힘들어 병원을 찾았더니 그제서야 자신이 수술받은 제품이 리콜됐다는 사실을 병원 측에서 알려줬다고 한다. 이런 황당하고 억울한 일이 어디 있겠는가. 식약처는 공문을 보낸 것으로 제 할 일을 다했다고 뒷짐지고 있어선 안 된다. 의료업체와 병원 등이 환자들에게 제대로 사실을 알렸는지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등 적극적 행정을 펼쳐야 한다. 수입된 인공고관절 1299개 제품 가운데 리콜된 제품은 불과 379개뿐이다. 나머지 920개는 아직도 환자들의 몸 속에서 발암물질을 뿜어내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식약청이 새 정부에서 식약처로 승격된 것은 명실공히 식품과 의약품의 안전 컨트롤 타워 역할을 잘하라는 뜻일 게다. 높아진 위상에 걸맞게 환자들의 알 권리부터 챙기기 바란다.

2013-07-16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