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서울시, 경복궁 옆 부지 개발 머리 맞대라

[사설] 정부·서울시, 경복궁 옆 부지 개발 머리 맞대라

입력 2013-10-03 00:00
업데이트 2013-10-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와 서울시가 경복궁 동쪽 송현동의 옛 미국 대사관 직원숙소 부지를 개발하는 문제를 놓고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대한항공은 그동안 이곳에 지속적으로 7성급 관광호텔 건립을 추진했지만 주변에 3개 중·고등학교가 몰려 있어 허가가 나지 않았다. 정부는 지난달 투자 활성화 차원에서 학습 환경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유해시설이 없는 관광호텔은 지을 수 있도록 새로운 방침을 내놓았다. 그런데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서울시가 도심 명소와 연계되는 상징성을 지닌 북촌의 거점공간으로 공익적 활용의 타당성을 주장하며 사실상 반대한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정부 방침의 변화에 따라 대한항공이 교육청 승인을 받더라도 서울시가 북촌 지구단위 계획을 변경하지 않으면 앞으로도 관광호텔은 지을 수 없다.

정부와 서울시가 내세우는 이유는 모두 일리가 있다고 본다. 한국을 상징하는 한옥으로 최고급 호텔을 서울 중심부에 짓겠다는 계획이 관광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더불어 관련 규제가 해제되면 모두 2조원에 이르는 투자 효과가 뒤따를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고 한다. 반면 서울시가 호텔 건립에 반대하는 이유는 이 일대를 전통문화의 멋을 간직한 세계적 명소로 가꾸어 나가는 데 호텔이 저해 요소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인 듯하다. 교육 환경도 그렇지만, 늘어나는 전통문화의 수요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지역에 고급 호텔을 지어 경복궁과 북촌, 인사동을 비롯한 지역의 연계성을 차단하는 것은 허용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국가 경쟁력 증대와 도시의 문화적 활성화 차원에서 각각 타당성이 있는 만큼 입씨름할 이유도 없을 것이다.

정부와 서울시는 이제라도 머리를 맞대야 한다. 정부와 서울시 모두 상대가 원하는 개발 방안의 장점을 모르지 않을 것이다. 서로의 장점을 인정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설득해 나갈 때 난제도 쉽게 풀리는 법이다. 무엇보다 사업주체인 대한항공은 감이 하늘에서 떨어지기만 기다려서는 안 된다. 주변의 전통문화와 소통하고 조화를 이루는 호텔 건립 및 주변 개발 방안을 하루빨리 제시해 시민들의 걱정을 덜어주고, 서울시도 설득해야 할 것이다.

2013-10-03 27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