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역사교과서 오류 수정에 예외 없어야

[사설] 역사교과서 오류 수정에 예외 없어야

입력 2013-10-23 00:00
업데이트 2013-10-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부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에서 모두 829건의 오류를 찾아내 수정·보완을 권고했다. 우 편향 논란을 빚은 교학사 교과서에서는 전체의 30%에 이르는 251건의 오류가 발견됐다.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삶을 미화하거나 친일·합리화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표현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기존의 한국사 교과서에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지적이 적지 않았다. 리베르가 112건, 천재교육 107건, 두산동아 84건, 비상교육 80건, 금성출판사 69건, 지학사 64건, 미래엔이 62건이었다. 수정·보완을 권고받은 기존 한국사 교과서의 집필자들은 반발하고 있다. 잘못된 교과서를 바로잡으라고 했더니 기존 교과서까지 수정 대상에 끼워넣은 전형적인 물타기라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민주주의 사회가 가진 장점의 하나가 다양성이라고 믿는다. 내가 가진 생각이 중요한 만큼 다른 사람의 생각도 충분히 존중해야 민주주의는 유지된다. 생각이 같은 사람들이 파당을 지어 분열하기보다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존중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이 민주주의다. 하지만 한국사 교과서와 관련한 그동안의 이념적 편향 논란은 철저하게 다양성을 부정하는 양상이었다. 과거 금성출판사 교과서의 좌 편향 논란과 이번 교학사의 우 편향 교과서 논란은 공격의 주체만 바뀌었을 뿐 나와 다른 견해를 인정하지 않은 편협성에서는 조금도 다르지 않다고 본다. 획일적 역사관을 강요하는 사회가 과연 민주적인 사회인지 이른바 좌 편향 교과서를 비판하는 사람들도, 우 편향 교과서를 비판하는 사람들도 스스로 반문해 보기 바란다.

최근의 이념 편향 교과서 논란의 가장 중요한 책임은 당연히 교학사 교과서 집필진에 있다. 도대체 길거리에서 파는 대중 잡지에도 200건이 훨씬 넘는 오류가 있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가. 하물며 미래 세대의 가치관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교과서를 어떻게 그 지경으로 만들 수 있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기존 교과서에서도 적지 않은 오류가 발견됐음에도 교육부나 국사편찬위원회는 그동안 무엇을 했는지 가슴이 답답할 뿐이다. 기존 교과서의 오류를 이미 파악하고 있었음에도 그저 평지풍파가 일 것을 두려워 방관하고 있었다면 심각한 직무유기가 아닐 수 없다. 무엇보다 기존 교과서 집필진들은 교육부의 권고 내용을 겸허하게 수용해야 할 것이다. 교과서 집필자들부터 내 생각만 옳다는 아집을 버려야 한다.

2013-10-23 3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