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종편 시사프로그램 과잉 편성, 자기 부정이다

[사설] 종편 시사프로그램 과잉 편성, 자기 부정이다

입력 2013-11-11 00:00
업데이트 2013-11-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종합편성채널의 시사토크 프로그램 과잉 편성이 도마에 올랐다. 최근 열린 종편의 시사토크 평가 토론회에서 시사 프로그램의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고, 내용마저 정제되지 않아 말초적이고 정파적으로 흐른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는 뉴스와 드라마, 교양 등 모든 장르를 방송한다는 설립 취지에 어긋난 것으로 종편의 현주소와 향후 나가야 할 방향성을 여실히 시사하고 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8일 주최한 ‘종편의 시사토크 프로그램 평가’ 토론회에서 사사토크가 많게는 매일 5개까지 편성되는 등 편성 비율이 전체 프로그램의 56.2∼67.1%로 지극히 높다는 지적이 나왔다. 굳이 지상파 방송의 시사프로그램 편성 비율(31.2∼35.8%)과 비교하지 않아도 이 수치는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또한 시사토크의 심의 규정 위반도 출범 2년여간 ‘품위유지’가 전체의 44.1%(26건)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명예훼손’ 11.9%(7건), ‘객관성’이 10.2%(6건)를 보여 정제하지 않은 방송을 해 왔음을 확인시켰다.

종편의 제작과 관련한 지적은 줄곧 나왔다. 시청률만 의식해 사실 확인을 소홀히 하거나, 일부 진행자와 평론가의 자극적 발언 등은 ‘막말 방송’이란 비난을 받았다. 노이즈마케팅성 방송은 급기야 ‘5·18 오보’와 같은 무리수로 이어졌다. 물론 종편의 시사토크가 지상파방송이 접근하지 못했던 50대 이상의 장년층 시청자를 발굴한 긍정적 측면이 있다. 시사토크는 제작비가 적게 든다는 점에서 제작상의 한 방편일 수도 있다. 이를 두고 왈가왈부할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로 인한 질 낮은 프로그램이 지속되면 문제는 달라진다. 종편 불신은 고스란히 시청자의 피해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종편의 프로그램 쏠림 편성과 자극적인 진행은 그 출범의 뜻을 퇴색시킨다. 나아가 최소한 방송의 품위를 망각해서는 안 된다. 이는 시청자에게 지켜야 할 도리이기도 하다. ‘질 낮은 언어의 해우소’란 비아냥을 더 들어서는 곤란하다. 종편은 내부의 점검 시스템을 더 확충하고 절제되고 정제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방통심의위도 종편의 승인 조건 이행 실태를 보다 엄격히 점검해 그 결과를 내년 재승인 심사에 반드시 반영하기 바란다.

2013-11-11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