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만델라는 떠났지만 용서·화합 정신은 남았다

[사설] 만델라는 떠났지만 용서·화합 정신은 남았다

입력 2013-12-07 00:00
업데이트 2013-12-07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 인권운동의 상징으로 전 세계인으로부터 추앙받던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5일 ‘자유를 향한 길고도 먼 여정’을 마치고 95세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반역죄로 종신형을 선고받고 무려 27년 동안 수감 생활을 견디면서 남아공의 악명높은 인종차별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를 종식시켰던 그다. 그에 대한 세계인의 사랑은 남아공 최초로 흑인 대통령의 지위에 올랐기 때문은 아니다. 백인정부에 저항하던 아프리카민족회의(ANC) 활동에 동참한 투사였기 때문도 아니다. 1994년 총선에서 승리해 대통령이 된 뒤 용서와 화합으로 불행한 과거사를 정리하고 남아공의 미래를 설계했던 덕분이다. 지구촌 모든 이들이 국적과 인종을 떠나 그의 서거를 애도하는 이유다.

그는 백인 독재정부에서 벌어졌던 추악한 반인도주의적 범죄행위에 대해 정치적으로 보복하지 않았다. 오히려 국민의 이름으로 흑인과 백인이 용서하고 화합할 방안을 마련했다. 증오와 반목으로는 국민을 통합시키고 나라를 발전시킬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1955년 ‘국민통합 및 화해촉진법’을 제정하고, ‘진실과 화해위원회’를 설립해 과거의 인권침해 사례들을 낱낱이 밝혔지만 국민 앞에서 자신의 범죄행위를 고백한 모든 사람들을 사면했다. “용서하되 잊지는 않는다”는 유명한 발언을 통해 그는 평화로운 정권 교체를 실현하고, 평화를 유지하는 방안도 확보했던 것이다. 그는 백인정권의 대통령이었던 프레데리크 빌렘 데클레르크를 부통령에 임명했고, 심지어 자신에게 종신형을 구형한 검사도 대통령 관저에 초대했다고 한다. 사랑과 용서로 국민통합을 추구한 셈이다.

종신형이 선고된 법정 최후진술에서 그는 “나는 모든 사람이 평등한 기회를 갖고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건설하고자 했다”고 신념을 피력했다. 신념대로 그는 흑백이 공존하는 무지개 국가를 구현했다. 만델라는 갔지만, 그가 꿈꾸고 실천했던 숭고한 가치를 인류가 되새겨야 할 것이다. 특히 ‘100% 대한민국’이라는 선거 때의 국민통합 약속을 제대로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청와대와 여당은 물론 사사건건 국정의 발목을 잡는 듯한 야권 모두 만델라의 화합과 타협 정신을 깊이 새겨야 한다.

2013-12-07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