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권에서도 나오는 靑 불통 논란 잘 새겨야

[사설] 여권에서도 나오는 靑 불통 논란 잘 새겨야

입력 2013-12-21 00:00
업데이트 2013-12-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선 1주년을 맞아 박근혜 정부의 소통 방식을 놓고 공방이 일고 있다. 며칠 전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이 “원칙대로 하는 것을 불통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자랑스러운 불통”이라고 하자 민주당은 “청와대의 심각한 소통 수준이 드러났다”며 연일 냉소적 반응이다. 여권의 처지에서는 대선이 끝난 지 1년이 지나도록 사사건건 국정의 발목을 잡는 것도 모자라 대선불복 조짐을 보이는 야당 측이 야속해 보일 수도 있겠으나, 우리는 기본적으로 승자가 포용력 있게 소통에 나서야 한다고 본다.

청와대의 입장에서야 박 대통령이 현장 방문과 각계 인사들과의 간담회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적극적으로 소통해 왔다고 항변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대통령의 통상적 업무가 국민들에게 원활한 소통으로 받아들여질지는 의문이다. 소통이라 함은 일방적인 대화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다른 생각을 가진 이들을 폭넓게 만나 의견을 경청하고 그들의 입장을 헤아리는 쌍방향 대화가 아니라면 진정한 의미에서 소통이라 할 수 없다. 작금의 불통 논란은 바로 그런 점이 부족하다는 지적인 셈이다. 박근혜 대통령 못잖게 ‘원칙’을 중시하는 보수 정권을 이끌었던 미국의 레이건 전 대통령도 야당인 민주당 인사들과 수시로 대화하고 언론과의 격의 없는 토론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지 않은가.

그런 의미에서 고위공직자 인사를 놓고 ’나홀로 인사’니 ‘수첩 인사’하는 비판이 나온 것도 바로 청와대가 제대로 소통하지 못한 결과로 봐야 할 것이다. 물론 대선 1년이 지나도록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문제와 국가기관 댓글 사건 등을 놓고 정쟁을 벌인 일차적 책임은 정치권에 있다. 무엇보다 지금과 같은 경색 정국에 대해 대선 불복 심리를 기저에 깔고 정치 공세를 편 야당과 매사에 청와대만 바라보고 있는 듯한 무기력한 여당이 공동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여당 내에서조차 ‘야당 및 국민과의 소통시스템’ 부족을 지적하는 이들이 있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최경환 원내대표가 “집권 2년차의 3대 과제 중 하나로 소통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겠다”고 다짐한 것도 다 민심을 읽은 결과가 아니겠는가. 박 대통령이 강조하는 ‘국민통합’과 ‘국민행복’의 첫 걸음이 바로 소통이다. 소통도 일방적인 상명하달식 소통이어서는 곤란하다. 국민들이 공감하는, 쌍방형 방식으로 해야 제대로 소통한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2013-12-21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