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렴불감증 공공의료기관 自淨의 메스 들라

[사설] 청렴불감증 공공의료기관 自淨의 메스 들라

입력 2013-12-30 00:00
업데이트 2013-12-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공의료기관의 청렴도 조사에서 서울대병원이 꼴찌를 차지했다고 한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전국 46개 공공의료기관의 전·현 직원과 환자 6750명을 대상으로 리베이트 수수 경험과 청렴도 수준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다. 서울대병원에 이어 강원대병원, 경상대병원, 경북대병원, 충북대병원, 부산대병원이 최하위권을 기록했다니 공공의료기관의 명성과 청렴도는 완전히 반비례하는 꼴이다. 대학병원이라면 해당 지역에서 주민 건강을 지키는 책임을 부여받은 가장 권위 있는 의료기관이 아닌가. 특히 서울대병원은 국민 건강의 마지막 보루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이렇듯 국민이 의지하는 의료기관에서 금품수수 등 온갖 부조리가 판치고 있다니 충격을 넘어 분노마저 느끼게 한다. 이런 의료기관을 계속 믿고 제 생명을 맡길 수 있을지 많은 국민은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게 됐다.

이번 조사에서도 드러났듯 공공의료기관의 청렴도를 떨어뜨리는 직접적인 요인은 역시 의약품이나 의료기기 구매에 따른 리베이트다. 특히 대학병원은 종사자의 35.2%가 리베이트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한다. 대학병원은 의약품과 의료기기 구매량이 많은 만큼 리베이트가 오갈 여지도 그만큼 많다. 공공의료기관 종사자는 ‘공직자’다. 이 정도라면 국공립 대학병원은 청렴 불감증에 매몰된 공직의식의 사각지대라는 소리를 들어도 할 말이 궁할 듯하다. 공공의료기관 전체 청렴도는 공공기관 전체 청렴도보다도 낮았다. 그나마 충북 청주의료원과 전남 순천의료원, 충남 공주의료원이 공공기관 전체보다 훨씬 높은 청렴도를 기록해 공공의료기관의 체면을 살려줬다. 환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의 의료원은 아무래도 제약회사나 의료기 회사의 집중로비 대상에서 조금은 벗어나 있다는 점도 청렴도를 높이는 데 역할을 했을 것이다.

공공의료기관의 형편없는 청렴도는 결국 리베이트 관행과 의료종사자의 낮은 윤리의식 때문이다. 원인이 드러났으니 해법을 찾아야 한다. 의약 관련 업체의 로비는 공공의료기관뿐 아니라 모든 의료인의 청렴도를 깎아 먹는 주범으로 부각된 지 오래다. 리베이트를 제공해 기대하는 이익보다 훨씬 큰 손실을 안겨주는 강력하고 지속적인 처벌이 필요하다. 그러나 공공의료기관 종사자들이 투철한 공직 의식을 갖지 않는 한 로비 관행을 근원적으로 뿌리 뽑기는 어렵다. 스스로 수술칼을 들어 환부를 과감히 도려내는 결단을 촉구한다.
2013-12-30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