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이비 언론 광고 요구 폐해 심각하다

[사설] 사이비 언론 광고 요구 폐해 심각하다

입력 2015-07-22 23:48
업데이트 2015-07-22 2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악의적인 기사를 반복적으로 노출한 뒤 이를 수단으로 기업들에 광고를 요구하며 공갈과 협박을 일삼는 사이비 언론의 폐해가 심각한 수준이다. 광고주협회가 최근 발표한 ‘유사언론행위 피해 실태조사’는 사이비 언론의 심각한 병폐를 고스란히 보여 준다. 100대 광고주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한 기업의 광고 담당자 90%는 “유사언론행위(사이비 언론) 문제가 심각하다”고 밝혔다. 또 86.4%가 지난 1년 사이 사이비 언론으로 인해 피해를 봤고, 응답한 기업 대부분(97.6%)은 ‘협박성 요구’에 굴복해 광고·협찬을 했다고 답변했다.

사이비 언론이 기업을 괴롭히는 수법은 기업과 관련된 부정적 기사의 반복 게재(87.4%), 부정적 기사에 경영진 이름이나 사진 노출(79.3%), 국민의 반(反)기업 정서에 편승해 부정적 이슈를 함께 엮는 행태(73.6%) 순이다. 긍정적인 기업 이미지를 유지해야 할 기업에서는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광고·협찬을 할 수밖에 없다. 건전한 여론을 형성하고 권력의 전횡을 감시하는 기능을 해야 할 언론이 기업 등에 공갈·협박을 일삼은 탓에 발생한 공론장 파괴의 대가는 국민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와 언론계는 사이비 언론이 기승을 부리는 원인 중 하나로 우후죽순 격으로 생겨나는 신생 인터넷신문을 지목하고 있다. 인터넷신문은 기자가 3명 이상이면 등록할 수 있다. 진입 장벽이 크게 낮은 탓에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인터넷신문 사업자는 5950곳에 이른다. 한국기자협회 회원사는 인터넷신문을 포함해 180여곳에 불과하다. 지난해 한 해에만 1179곳이 증가해 하루에 3.2곳이 등록했다. 광고시장은 정체해 있는데 종합편성채널이 생기고 인터넷신문까지 급증하자 독자를 유인할 수 없는 매체들이 기업에 대한 공갈·협박으로 광고를 수주하는 사이비 행태가 늘어난 것이다.

포털 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카카오는 정부나 기업이 관련 기사에 직접 댓글을 달 수 있는 ‘오피셜 댓글’ 서비스 도입을 고려한다고 밝혔다. 언론의 자유에 대한 침해가 우려된다는 반론이 있지만 설득력이 약하다. 사이비 언론들이 언론의 자유를 외칠 권리는 없다. 만에 하나 그런 일이 있더라도 그 때문에 사이비 언론들의 횡포를 눈감아 줄 수는 없다. 언론계와 포털이 앞장서 특단의 자정 노력을 펼쳐 사이비 언론이 발붙일 수 없도록 해야 한다.
2015-07-23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