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위안부 합의’ 퇴색시킨 日 ‘소녀상 철거’ 주장

[사설] ‘위안부 합의’ 퇴색시킨 日 ‘소녀상 철거’ 주장

입력 2016-08-02 20:38
업데이트 2016-08-02 2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측근인 이나다 도모미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이 엊그제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의 철거를 주장했다고 한다. 이나다는 “소녀상은 ‘일본군이 20만명의 젊은 여성을 강제 연행해 성노예로 삼았다’는 잘못된 인식의 상징”이라면서 “철거를 요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는 것이다. 일본의 우익 정치인들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저지른 비인간적 만행을 부인하면서 흔적을 지우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바 아니다. 하지만 과거에 끌려가기보다 미래로 나아가자는 취지에서 지난해 이뤄 낸 일본군 위안부 관련 합의마저 자의적으로 해석해 또 다른 파국의 빌미를 만들려는 일부 일본 정치인의 의식은 이해의 한도를 넘어선다.

이미지 확대
이나다는 “양국이 합의를 제대로 지켜야 한다”면서 “한국이 확실히 진전시켜 나가는 모습을 보여 주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마치 한국이 소녀상 철거를 약속했고, 그럼에도 미온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는 투다. 당시 합의는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공관의 안녕·위엄의 유지라는 관점에서 우려하고 있는 점을 인지하고, 가능한 대응 방향에 대해 관련 단체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한다”는 것이었다. 일본의 우익 언론은 당시에도 “일본이 10억엔을 위안부 관련 재단에 출연하는 것은 소녀상 철거의 대가”라는 터무니없는 주장을 펼쳤다. 하지만 이런 논리의 합의서였다면 도장을 찍어 줄 얼빠진 한국인은 단 한 사람도 없다는 것을 일본 우익도 모르지는 않을 것이다.

이나다는 아베 총리가 ‘첫 여성 총리감’으로 꼽는 인물이다. 금명간 단행될 개각에서도 중요한 자리에 등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럴수록 일본 정계 핵심 인사의 과거사 인식이 국군주의 시대를 연상시키는 수준에 여전히 머물고 있는 현실은 안타깝기만 하다. 우리에게 위안부 문제는 도저히 묻을 수 없는 과거사의 아픔이다. 위안부 합의는 그래도 묻고 가겠다고 백번, 천번을 양보한 결과다. 일본 우익은 한국의 인내를 더이상은 시험하지 말라.

2016-08-03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