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노벨상 꿈 키우는 서경배의 3000억 출연

[사설] 노벨상 꿈 키우는 서경배의 3000억 출연

입력 2016-09-02 18:00
업데이트 2016-09-02 18: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이 사재 3000억원을 출연해 과학재단을 만든다고 한다. 사드 갈등을 비롯한 정치권의 갈등으로 시끄러운 요즘 오랜만에 들리는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그가 만드는 재단은 앞으로 연구 기반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취약한 기초과학 육성에 힘을 쏟는다고 하니 더더욱 높이 평가하게 된다. 국가가 나서서 할 일을 기업인이 그것도 회삿돈이 아닌 개인 돈을 쏟아부어 과학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결심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서 회장은 앞으로 지원 규모를 1조원까지 늘리겠다고도 했다.

일부 기업의 오너들이 재단을 설립하는 일은 종종 있었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속세 등을 피해 가고자 하는 의도도 있었던 게 사실이다. 서 회장의 과학재단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큰 까닭이 바로 거기 있다. 그가 첫 조치로 이사회에서 의결권이 필요 없는 우선주부터 출연하겠다고 나선 것도 상속에 재단을 이용하려고 한다는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다. 그의 진정성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화장품 회사가 기초과학 지원에 나선 것도 놀랍다. 보통 기업들이 과학 투자에 잘 나서지도 않거니와 투자한다고 해도 당장 돈이 되는 반도체·통신 등 응용과학에 나선다. 하지만 그는 단기적 성과보다 멀리 내다보고 기초과학에 미래를 걸었다. 많은 부를 창출하는 응용과학도 사실 기초과학이 바탕이 돼야 한다. 그렇기에 기초과학의 저변을 다지겠다는 그의 계획이 앞으로 과학계와 국가 발전의 밑거름이 될 것은 분명하다. 그의 지원에 힘입어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길 기대한다.

그는 “과학을 포기하면 미래를 포기하는 것”이라는 신념을 갖고 있다고 한다. 1990년대 경영난으로 폐업 위기까지 갔지만 연구소에서 수백 번의 실험 끝에 내놓은 신제품이 날개 돋친 듯 팔리는 것을 경험하면서다. 아모레퍼시픽이 K뷰티의 선구자로 꼽히고, 포브스지가 선정한 100대 혁신기업 28위에 오른 것도 다 이런 그의 경영철학이 원동력이 됐을 것이다.

기업인들의 일탈이 많은 우리나라에서도 이제 존경받는 부자가 나올 때가 됐다. 세계 최고 부자인 미국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공동창업자는 이제 기업가보다 자선사업가로 더 유명하지 않는가. 서 회장처럼 다른 기업에서도 사회적 책무에 적극적으로 나서길 바란다.
2016-09-03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