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靑, 우선 수사에 성실히 응해야 한다

[사설] 靑, 우선 수사에 성실히 응해야 한다

입력 2016-11-16 23:14
업데이트 2016-11-17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대통령을 향한 수사가 청와대의 연기 요청으로 장애물을 만났다. 검찰은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의 수첩에서 박 대통령의 직접 지시를 그대로 받아 쓴 기록을 확보했다고 한다. 앞서 안 전 수석은 “대통령이 대기업 모금을 세세히 지시했다”고 검찰에서 진술한 적이 있다. 확고한 증거물을 검찰이 손에 쥐고 있다는 얘기다.

수첩의 위력은 수사뿐만 아니라 정치적 파장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미르·K스포츠 재단의 모금이 기업들의 자발적 참여였다는 박 대통령의 주장과도 당장 배치된다. 수첩에는 재단 설립 기금 774억원의 모금과 관련한 대통령의 최초 지시에서부터 수시 보고 내용, 추가 지시 등이 깨알같이 적힌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의 구두 지시를 실시간 받아 적은 것이라면 사실상 대통령의 범죄 혐의가 구체적으로 입증된 것이나 다름없다.

이 지경인데도 박 대통령은 버티겠다는 자세다. 최순실 국정 농단 의혹들이 봇물 터지던 지난 4일 대국민 사과에서 대통령은 검찰 수사는 물론 특검 수사도 받겠다고 스스로 약속했다. 국정 농단의 몸통이 누구도 아닌 대통령 자신이라는 사실은 갈수록 명백해지고 있다. 그런 처지인데도 대통령은 변호사를 통해 조사 연기를 요구하고 나섰다. 모든 의혹들이 먼저 조사돼 사실관계가 확정된 뒤에야 검찰 조사를 받겠다는 입장이다. 국정을 주무른 비선 실세들의 공소장에 어떻게든 자신의 혐의를 담지 않겠다는 계산으로 보인다. 혼돈 정국의 장본인인 대통령 자신이 딴소리를 하고 있는 셈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주말의 100만 촛불 민심을 확인했는지 의심스럽다. 구속된 정호성 전 비서관의 휴대전화에서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지휘한 것으로 보이는 수사 대비 자료까지 들춰진 마당이다. 박 대통령이 헌법의 불소추 특권을 방패 삼아 노출된 혐의들에 맞춤형 전략을 짜거나 증거 인멸의 시간을 벌고 있다는 의혹이 걷잡을 수 없이 퍼진다. 현직 대통령으로서 헌정 사상 초유의 검찰 수사를 받는 기록 자체가 이미 역사와 국민에 씻지 못할 수치다. 박 대통령은 초연한 자세로 성실하게 수사에 협조해 마지막 품격만은 지켜 주는 것이 남은 도리다.

검찰의 수사 의지가 진심인지도 국민은 두 눈 부릅뜨고 지켜보고 있다. 박 대통령의 피의 사실이 그토록 명백하다면 피의자 신분으로 바꾸는 초강수를 둬서라도 진정성 있는 수사를 해 보이라는 국민 분노가 뜨겁다. 이 역시 검찰이 사는 마지막 길이다.
2016-11-17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