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주52시간 반대에 전태일 활용한 국민의힘 윤희숙의 궤변

[사설] 주52시간 반대에 전태일 활용한 국민의힘 윤희숙의 궤변

입력 2020-11-16 20:36
업데이트 2020-11-17 04: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이 전태일 분신 50주년이던 지난 13일 페이스북에 ‘중소기업에 대한 주52시간제 연기가 전태일 정신’이라고 주장했다. 당의 경제혁신위원장인 윤 의원은 비판이 쏟아지는 중에도 지난 14일 “중소기업에 52시간제를 전면 적용해 근로자를 길거리로 내모는 게 전태일 정신이냐”고 했고, 그제는 “코로나 재난 상황으로 폐업 위기에 직면한 중소기업들에 52시간제를 기계적으로 적용해 근로자의 일자리를 뺏지 말자는 주장에 그(전태일)도 기꺼이 동의할 것”이라며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어제 “개인적 의견”이라며 발언을 두둔했다.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라던 전태일의 외침을 삭제한 것인가. 살인적인 장시간 노동과 비인간적 노동환경에 맞서 노동자의 권리를 찾기 위해 목숨을 바쳤던 전태일을 노동시간 단축 반대의 근거로 쓰는 궤변을 어떻게 계속하는지 어안이 벙벙할 뿐이다. 전태일이 잔업수당을 더 받으려고 분신했다는 말인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노동시간은 1967시간(2019년 기준)으로 멕시코(2137시간), 코스타리카(2060시간)에 이어 세계 3위다. OECD 평균(1726시간)은 물론 일본(1644시간)보다도 1년에 수백 시간 더 일한다. 한국의 노동자는 과로사의 위험에도 장기노동에 노출되는 게 당연한가. 국민의힘이 제시한 ‘약자와의 동행’은 허언에 불과했나 따지지 않을 수 없다.

주52시간제는 중소기업에서 시행 중이다. 제대로 된 ‘1인 입법기관’이라면 궤변을 늘어놓을 것이 아니라 현재 국회에 올라와 있는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연장 등 다양한 방안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했어야 맞다. 특히 국민의힘의 경제혁신위원장이라면 더욱 그렇다. 장시간 노동하지 않더라도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 ‘약자와의 동행’이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

2020-11-17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