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윤석열 검찰총장 복귀시키라는 법원 결정

[사설] 윤석열 검찰총장 복귀시키라는 법원 결정

입력 2020-12-24 23:04
업데이트 2020-12-25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석열 검찰총장의 정직 2개월 징계 처분 효력을 정지시켜야 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2부(부장 홍순욱)는 윤 총장이 제기한 정직 처분 집행정지 신청을 어젯밤 늦게 인용, 윤 총장 손을 들어줬다. 사실상 윤 총장 징계가 잘못됐다는 것으로 윤 총장은 징계 처분 8일 만에 업무에 복귀하게 됐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징계 청구로 시작해 법무부 검사징계위원회의 의결 절차를 거쳐 문재인 대통령의 재가까지 끝난 징계 처분에도 불구하고 법원이 윤 총장 손을 들어줌으로써 상당한 파장이 불가피해졌다.

짧게는 추 장관 취임 이후 1년여간, 길게는 지난해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 이후 1년 반 동안의 법무·검찰 갈등 상황과 검찰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해소되길 바랐지만 윤 총장 임기가 끝나는 내년 7월까지 오히려 더 확대재생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장 업무에 복귀하는 윤 총장 측은 원전수사 등을 통해 현 정권과 대립각을 키울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온 국민이 하나가 돼 코로나19 국난에 대처해도 모자랄 판에 국론 양분 상황이 상당 기간 더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매우 불행한 사태라고 할 수 있다.

윤 총장이 제기한 징계 처분 무효청구 행정소송이 남아 있지만 이번 집행정지 신청 사건 재판부가 이례적으로 심문 기일을 두 차례나 잡는 등 사실상 본안 소송 재판에 준하는 심의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본안 소송의 재판 결과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게 법조계 중론이다. 따라서 이 같은 결과를 예측하지 못하고 2년이라는 임기가 보장된 검찰총장을 징계라는 형식으로 ‘식물총장’ 상태로 만들려 한 추 장관 측의 법리적·정무적 판단 미스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검찰개혁을 강조했지만 ‘윤 총장 찍어내기’ 프레임에 갇혀 검찰개혁의 명분마저도 퇴색돼 버리고 만 것 아닌가.

일각에서는 윤 총장이 복귀하더라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첫 번째 수사대상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지만 이는 사태를 더욱 걷잡을 수 없게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갈등을 해소하고 검찰개혁에 매진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다.

2020-12-25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