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 한줄] 사회의 병, 사람의 병

[책 속 한줄] 사회의 병, 사람의 병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0-10-27 20:40
업데이트 2020-10-28 0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회가 앓는 병은 불가피하게 개인들도 겪는다. 사회는 전체이기 때문에 사회의 병은 각 부분에 전염된다. 따라서 사회가 해체된다는 것은 일반적인 생활을 위한 정상적 조건이 손상된다는 것이다. (중략) 그러므로 좌절과 실망의 물결은 특정한 개인에게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사회 자체의 해체를 나타내는 것이다.(267쪽)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 한국에서 스스로 생을 마감한 사람은 하루 평균 38명이었다. OECD 국가 중 자살률도 가장 높았다. 잠시 주춤했던 수치가 2년간 다시 증가한 탓이다.

에밀 뒤르켐은 1897년 출간한 ‘자살론’(청아출판사)에서 지극히 개인적인 선택으로 보였던 자살의 사회적 원인을 파고들었다. 사회의 병이 개인을, 개인의 병이 사회를 파괴할 수 있다는 통찰도 남겼다. ‘코로나 블루’로 자살 관련 상담이 크게 늘었다고 한다. 개인과 사회의 건강에 대한 나쁜 징후다. 물리적 질병을 넘어 이에 대한 대응도 더 절실한 때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20-10-28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