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이 글을 언제 어떻게 읽고 있을까/최나욱 건축가·작가

[문화마당] 이 글을 언제 어떻게 읽고 있을까/최나욱 건축가·작가

입력 2021-11-10 17:34
업데이트 2021-12-07 18: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나욱 건축가·작가
최나욱 건축가·작가
다들 이 글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 읽고 있을까. 틀어 놓은 음악이 있는지, 있다면 어느 연주일 것인지, 타인이 잠시 자리를 비운 시간 동안 읽고 있는 건지 혹은 지겨운 웹서핑을 하다 우연히 읽기 시작했는지 알 수가 없다. 잠은 좀 잘 잤는지, 저녁은 맛있게 먹었는지. 하잘것없어 보이는 생각을 왕왕 떠올린다.

 그러나 그렇지만도 않은 건 정말로 이것들이 우리가 무언가를 감상하는 경험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막연히 같은 걸 보고 같은 이야기를 하는 것 같지만 각자의 상황에 따라 전혀 다른 감상에 이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감정을 동기화할 수 없으니 다만 모른 척 미뤄 둘 뿐이다.

간만에 붐비는 영화관을 보며 얼마간 미뤄 두었던 감상의 전제조건에 대해 생각한다. ‘듄’이라는 블록버스터 영화가 개봉하자 이 영화는 반드시 아이맥스로 봐야 한다는 요건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주장은 이렇다. 집에서 보거나 일반 영화관에서 보는 것은 “그 영화가 아니”라고. 그러니 “다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아이맥스관을 예매하려면 웃돈까지 줘야 하는 상황이 일전에 ‘인터스텔라’나 ‘그래비티’의 경우를 떠올리게 한다.

같은 것을 봤는데 같은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이다. 그래도 같은 슬픔인데 같은 슬픔이 아니라고 하는 것보다는 한결 다행일까. 감정의 동기화는 불가능한 영역이지만, 적어도 이것은 형식과 매체의 문제다. 우리는 필연적으로 (같다고 착각하는)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을지언정 그것의 형식을 어떻게서든 조금이라도 맞춰 볼 수 있으며, 나아가 언제나 다를 수밖에 없는 필연성 그 자체를 다뤄 볼 수 있다.

일찍이 현대미술은 여기에 좀더 예민해 왔던 분과다. 스피커를 어디에 몇 개 설치할 것인지, 작품을 어느 거리에서 볼 수 있는지, 시작점과 끝점이 없는 영상은 어느 시점에서부터 봤는지 등. 내용 이상으로 형식에 매진해 온 역사가 짧지 않다. 그렇기에 나는 전시 디자인에 참여할 때면 그저 작품을 지탱하는 좌판을 만든다기보다 어떤 환경을 조성하느냐에 따라 모든 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갖곤 한다.

물론 우연적인 것은 관여할 도리가 없다. 어떤 사람과 어느 대화를 하며 어떠한 감정으로 있느냐에 따라 모든 형식과 내용이 뒤바뀐다. 괜히 창작자들이 관객석을 어슬렁거리는 게 아니다. 어느 영화감독은 자신이 연출한 영화의 상영관을 몇 번씩 찾는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은 과연 어디서 웃고 어디서 우는지 궁금해서 말이다. 어느 각본가는 글을 읽을 때 특정 음악을 함께 틀어 달라고 요청한다. 쓸 때의 자신과 읽는 누군가의 정서를 최대한 동기화하기 위해서다. 의도한 바가 맞으면 맞는 대로, 틀리면 틀린 대로 흥미로운 경험일 따름이다.

건축은 경우의 수가 좀더 다양한 것 같다. 계절과 시간마다 달라지는 풍광은 물론 사람들이 이용하는 방식과 관심 갖는 지점이 늘 예상을 벗어나기 일쑤다. 우연히 만들어진 부분을 디테일로 발견해 사진 찍고, 예상치 못한 시야각을 찾아내며, 전혀 다른 용례를 만들어 내기까지 한다. 최근 들어 건축의 형식이 공간이 아니라 평면으로 옮겨지고, 트렌드에 발맞추어 일부러 포토스폿을 지정하고는 하지만 여전히 많은 경우 다양성과 우연성을 담보하고 있다. 직접 만들어 놓고도 “이런 것도 있었구나” 내지는 “이렇게 쓸 수도 있구나” 하고 놀란다. 어떤 경우 나와 동기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뤄지는 상호작용이 불행을 주지만, 어떤 경우에는 상반된 관찰과 감상이 즐거운 상상력을 제공하기도 한다.

같은 것을 보지만 늘 다를 수밖에 없다는 필연성. 그럼에도 같은 이야기를 하려는 불가역성이 일련의 형식에 대한 담론을 만든다.
2021-11-11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