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공간감을 다루는 무용의 방식/최나욱 작가·건축가

[문화마당] 공간감을 다루는 무용의 방식/최나욱 작가·건축가

입력 2023-06-29 00:51
업데이트 2023-06-29 17: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나욱 작가·건축가
최나욱 작가·건축가
최근 건축에서 ‘구조적 역할을 하지 않는 기둥’을 세우는 게 유행이다. 이전까지 얇은 두께 또는 적은 수량의 기둥으로 공간 낭비를 최소화하는 게 관건이었다면 이미지로 건축을 소비하는 일이 늘어나자 ‘상부 요소가 있으리라’ 참조하게 하는 기둥을 사용하면서 공간감을 만든다. 이를 통해 기둥은 실제 구조 역학과 무관하게 사람들이 공간을 인식하는 데 개입한다. 대표적으로는 천장에 붙어 있지도 않은 기둥을 연거푸 만드는 스위스 건축가 발레리오 올지아티나 포르투갈 건축가 팔라 아틀리에가 있고, 한국에서는 AOA 아키텍츠가 이러한 ‘참조성’의 논리를 활용한 건축물을 설계한다. 물리적 개연성을 기본 전제로 삼는 건축 분야에서 이처럼 문화적 인식을 통해 공간을 다루는 것은 신선하게 다가온다.

지어야 한다는 책무를 갖지 않는 건축 이외의 분야에서 이러한 접근은 더러 존재한다. 예컨대 미술 전시장에 가면 우리는 작품과 나 사이에 어느 벽이 있는 것처럼 거리를 두는데, 1960~70년대 미니멀리즘 미술가들은 이러한 제도적 성질을 이용해 현상학적 공간을 설계한 바 있다. 물리적인 ‘텍토닉’을 근간에 둔 서양 건축과 달리 상징과 의미를 중시하는 동양 건축에서는 비교적 익숙한 문화이기도 하다. 어릴 적 문지방은 밟으면 안 된다거나, 가운데 문과 길은 혼령들에게 비켜 줘야 하는 통행로라는 말을 들었던 것처럼 말이다.
이미지 확대
2018년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Free Space’에서 ‘공간의 경험’이라는 제목으로 발레리오 올지아티가 선보인 기둥 설치. 최나욱 제공
2018년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Free Space’에서 ‘공간의 경험’이라는 제목으로 발레리오 올지아티가 선보인 기둥 설치.
최나욱 제공
그중에서 무용 분야는 특히 많은 사례를 지닌다. 물리적 조건을 짓는 건축과 정반대로 무용은 기존 공간을 극단적인 인간 활동을 통해 전혀 다른 무대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요컨대 건축은 공간의 조건을 만들고 무용은 공간의 활동을 만든다는 점에서 상호 대비된다. 전설적인 디자인 학교 바우하우스에서는 이사도라 덩컨 같은 무용가를 초청해 건축 워크숍을 진행하기도 했다. 사람들이 오르락내리락하는 용도로 만들었을 계단을 전혀 다른 방식으로 경험하고 인식하는 모습을 보여 주면서 건축 요소와 공간감 간의 통상적인 상관관계를 달리 바라보도록 하는 것이다.

근래에 ‘아트프로젝트보라’를 이끄는 김보라 안무가와 공간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며, 정작 건축 분야에서 떠올리기 어려운 공간의 문제를 생각하게 된다.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건축 요소뿐 아니라 ‘꼬리’라는 실제 인간이 가지고 있지 않은 신체 요소를 제시하며 작품을 만드는 게 그의 창작법이다. 마치 기둥이 역학적 기능이 없다 해도 그 존재를 통해 상부의 무게를 가늠하고 어떠한 공간감이 연출되듯 인간에게 꼬리는 없지만 그것을 상상함으로써 공간과 관계 맺는 방식이 사뭇 달라지는 것이다. 지난해 6월 런던에서 볼 수 있었던 그의 작품 ‘무악’은 7월 초 세종문화회관 ‘몸으로 말한다’를 통해 다른 버전으로 태어난다. 건축과 전혀 다른 각도에서 공간을 경험하게 하는 공연이다.
이미지 확대
2014년 러프컷 나잇에서 초연한 아트프로젝트보라 김보라 안무가의 작품 ‘꼬리언어학’. 최나욱 제공
2014년 러프컷 나잇에서 초연한 아트프로젝트보라 김보라 안무가의 작품 ‘꼬리언어학’.
최나욱 제공
그의 작품에 무용수로 참여했을 당시 인상적인 경험 하나를 소개하고 싶다. 뒷짐 진 손을 꼼지락하는 안무를 지도하면서 막상 손으로 뭘 하든 관객에게 보이지도 않겠지만 이러한 집요함이 분명 어떠한 에너지로 전달될 수 있다며 무대를 꾸렸다. 존재하지 않는 것에 집중함으로써 어느 존재에 다가가려는 방식은 당시 물리적인 성질만 고려하고 있던 내게 특이한 경험으로 다가왔다.
2023-06-29 26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