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 다양성 속의 통합/김영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전 주인도네시아 대사

[글로벌 시대] 다양성 속의 통합/김영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전 주인도네시아 대사

입력 2016-05-15 18:02
업데이트 2016-05-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영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전 주인도네시아 대사
김영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전 주인도네시아 대사
인도네시아의 국장(國章) 가루다는 힌두교의 비시누 신을 태우고 다니는 신화 속 상상의 새다. 세계 최대 이슬람 국가인 인도네시아 국장에 이슬람이 아닌 힌두교의 상징이 그려져 있는 것이다. 이는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에 끼친 인도 문화의 영향을 나타내는 한 예이기도 하지만 다름을 인정하는 포용과 화합의 정신이 동남아 문화의 특성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인도네시아 국장 하단에는 ‘비네카 퉁갈 이카’(Bhinneka Tunggal Ika)라는 문구가 쓰여 있는데 ‘다양성 속의 통합’(Unity in Diversity)이라는 의미로, 인도네시아 통치 이념이자 동남아 10개국 국가 연합인 아세안의 통합 비전이다. 수많은 종교, 인종, 언어를 가진 동남아 국가들이 어떻게 이질성을 극복하고 하나의 아세안 공동체를 출범시킬 수 있었을까. 다양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통합을 추구하는 포용과 화합의 정신이 뿌리 깊게 깔려 있기에 가능했다. 아세안은 통합의 장애로 여겨졌던 문화적 다양성을 오히려 창의성과 시너지 효과의 원동력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때때로 격한 반목과 대결을 드러내는 우리 사회가 주목하고 배워야 할 점이다.

세계화 시대에 많은 우리 국민들이 외국을 여행하고 해외에서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 우리가 해외에서 높이 평가받고 비즈니스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 나라의 문화와 관습을 이해하고 현지 실정에 맞게 행동해야 한다. 특히 동남아 국가들의 경우 같은 아시아권이라는 생각에 우리 방식으로 이해하고 행동함으로써 낭패를 보기 쉽다. 한 예로 아세안 국가들은 천천히 가더라도 협의와 화해를 통해 합의를 이끌어 내는 과정을 매우 중시한다. 반면 빨리빨리 문화에 젖어 있는 한국인들은 상대방의 입장을 잘 경청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그저 밀어붙임으로써 일을 그르치는 경우가 많다.

외국에 있다 보면 우리의 한류가 어떻게 전 세계적으로 선풍을 일으키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곧잘 받는다. 어느 전문가는 우리 문화가 기(氣), 흥(興), 정(情)의 특별한 에너지를 내재하고 있어 다른 문화에서는 접하기 어려운 매력과 강렬함을 발산하기 때문에 지구촌 사람들의 공감과 반향을 불러일으킨다고 설명한다. 또 다른 이는 한류의 성공 요인으로 한국인, 특히 젊은 세대의 창의성을 꼽기도 한다. 조금 다르지만 독특한, 창의적인 젊은 세대가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원동력이 됐다는 것이다. 우리 젊은이들이 과거 유교주의적인 전통 속에 갇혀 단지 부모님 말씀 잘 듣고 학교 공부만 잘하는 모범 학생으로 성장했다면 정형화되고 획일화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싸이 같은 세계적인 스타는 탄생할 수 없었을 것이다. 다양한 문화의 공존과 조화 속에서 우리 사회는 역동적이며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세계화 추세 속에 50년, 100년 후의 한국의 모습이 어떨지 궁금하다. 단일 언어, 단일 민족의 우리 사회는 200만명에 육박하는 국내 거주 외국인과 함께 급격히 변모해 가고 있다. 정치·경제·사회의 급성장 과정에서 이념 갈등과 소득 격차의 양극화 현상도 심화돼 가고 있다. 또 다문화가정, 장애인, 동성애자 등에 대해 다름을 이해하지 않고 배척하고 차별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사회의 이질적 요소와 다양성을 어떤 식으로 포용하고 융합해 나가야 할 것인지는 우리에게 가장 어렵고도 중요한 과제다. 아세안이 ‘다양성 속의 통합’을 통해 아세안 공동체를 출범시켰듯 우리도 포용과 화합의 정신으로 우리 식의 ‘다양성 속의 통합’ 문화를 고민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때다.
2016-05-16 30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