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허성관의 유구유언] 윤 당선인과 선조 윤증<尹拯>/전 행정자치부 장관

[허성관의 유구유언] 윤 당선인과 선조 윤증<尹拯>/전 행정자치부 장관

입력 2022-05-04 20:28
업데이트 2022-05-05 02: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숙종 때 벼슬 제안받은 윤증
부당한 공신 퇴출, 외척 배제
반대파 등용 ‘3대조건‘ 걸어
지금도 유효한 정신, 尹 새겨야

이미지 확대
허성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
허성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선조 중에 명재(明齋) 윤증(尹拯ㆍ1629∼1714)이 있다. 당선인 선대 할아버지 윤문거와 윤증 아버지 윤선거가 형제였다. 왜 윤증을 오늘날 여기서 소환하는가. 당선인이 할아버지 윤증 행적에서 배울 점이 많기 때문이다. 윤증은 과거에 급제하지 않고 우의정까지 제수됐지만 사양한 유일한 인물이었다. 재야에 있었지만 소론(少論) 영수였을 정도로 덕망과 학문도 뛰어났다.

윤증은 당당하고 공개적인 정치를 지향하고 공작 정치를 혐오했다. 그가 활동했던 숙종(재위 1674∼1714) 시대는 조선 역사상 당쟁이 극심했던 시기였다. 서인들은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을 축출하고 정권을 잡았지만 두 차례 예송논쟁 끝에 숙종 초 남인에게 정권을 넘겨주어야 했다. 서인들은 숙종 6년(1680) 경신환국으로 정권을 되찾은 후 남인들 재기를 막고자 숙종 8년(1682) 남인을 역모로 모는 임술고변을 일으켰다. 이 고변으로 남인 여러 명이 사형을 당했는데, 이것이 정치공작으로 드러나면서 정국에 큰 소동이 일었다. 젊은 서인들인 소론은 정치공작 수행자 처벌을 주장한 반면 원로 서인들인 노론(老論)은 정치공작을 옹호했다.

이 문제로 정국이 시끄러워지자 숙종은 재야에서 존경받는 세 선비를 불러 이들의 조언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세 선비는 박세채(朴世采ㆍ1631∼1695), 윤증, 송시열(宋時烈ㆍ1607~1689)이었다. 윤증이 서울로 올라가는 도중 경기 과천에 머물러 정국을 관망하자 먼저 상경했던 박세채가 윤증을 찾아와 출사를 종용했다. 이때 윤증은 세 가지를 물었다. 정치공작으로 남인을 살육하고 공신이 된 서인들을 공신록에서 삭제할 수 있는지, 부당하게 정치에 간여하는 외척 가문(청풍 김씨, 광산 김씨, 여흥 민씨) 세력을 제어할 수 있는지, 반대 정파도 등용할 수 있는지 여부였다. 이른바 출사를 위한 ‘3대 명분론’이었다. 이 명분론은 남인과 서인의 통합 정치를 추구하고 법 위에 군림하는 외척을 척결하는 법치를 구현할 수 있는지를 물은 것이었다. 박세채가 불가능하다고 답하자 윤증은 출사를 거부하고 고향으로 돌아갔고, 박세채도 벼슬을 내놓고 귀향했다. 윤증의 이 문제 제기가 받아들여졌다면 조선은 망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윤증뿐만 아니라 부친 윤선거도 통합과 다양성을 추구했다. 윤선거는 남인 영수이자 개혁 정치가였던 백호(白湖) 윤휴(尹?ㆍ1617∼1680)의 학문을 옹호했다. 윤휴는 주희(朱熹)의 성리학이 도그마였던 조선에서 대학(大學)을 주희와 달리 해석했다고 사문난적으로 몰려 끝내 사형당한 선비였다.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ㆍ1649∼1736)는 윤증의 제자였지만 성리학자들에게 이단으로 취급받았던 양명학자였다. 사제 간의 학문적 논쟁에 관한 편지가 지금도 남아 있다. 이 논쟁은 정제두의 학문 발전에 큰 도움이 됐고, 지금까지 사제 간의 진정한 아름다운 이야기로 전해지고 있다.

윤증이 스승 중 한 명이었던 송시열과 끝내 결별하게 된 것도 이런 사상 차이 때문이었다. 윤증은 다양성을 인정한 데 비해서 송시열은 성리학 유일사상만 고집하면서 다른 모든 사상을 배척했다. 제자의 스승 비판은 금기 중의 금기였지만 윤증은 이를 깨고 송시열을 비판했다. 주희의 대의를 앞세워 반대되는 사람을 억압하고, 중국 황제를 끼고 조선 임금을 억압한다는 비판이었다. 이 비판은 큰 파란을 낳아 송시열 제자들은 윤증이 스승을 배신했다고 몰아세웠다. 그러나 윤증의 가장 큰 스승은 아버지와 옛 성인과 선현들이었지 송시열이 아니었다.

훌륭한 선조를 둔 후손은 복이 많은 사람이다. 윤증이 지향한 당당한 정치, 통합의 정치, 법치주의, 다양성 존중, 자주적 비판 정신은 현재 대한민국 정치에서도 유효하다. 윤 당선인이 선조가 추구했던 훌륭한 정치를 구현하기를 기대해 본다.
2022-05-05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