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주대의 방방곡곡 삶] ‘폐허’의 삶/문인화가·시인

[김주대의 방방곡곡 삶] ‘폐허’의 삶/문인화가·시인

입력 2021-10-05 17:58
업데이트 2021-10-06 02: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주대 문인화가·시인
김주대 문인화가·시인
폐허! ‘방방곡곡 삶’을 찾아다니다가 가끔 마주친다.

흔히 버려진 곳, 삶이 중단된 곳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폐허 앞에 서면 폐허야말로 삶의 분명한 일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한때 우체국 직원이기도 했던 프랑스 철학자 가스통 바슐라르는 인간의 상상력을 세균으로 보았다. 상상력은 영혼의 질병을 안겨 주어 인간을 고통스럽게도 하지만, 인간을 살아 있는 생명체로 만드는 주요한 미생물이다. 상상은 살균되지 않는 인간의 내부이자 내부의 타자다.

폐허에 서면 상상이 시작된다. 폐허(廢墟)에 와서 ‘아’ 하고 입을 벌린다.

황폐한 풍경들이 몸 안으로 바람처럼 몰려들어 오는 걸 느낀다. 상상한다. 몸 안의 여러 기관들이 일어서 팔을 벌려 반기기도 하고 놀라기도 한다. 흔들리지만 비로소 몸은 온전히 폐허의 풍경 속을 걷기 시작한다.

모국어로 몸과 몸 안의 상상을 보여 줄 수 있다는 사실은 얼마나 기쁘고 다행스럽고 슬픈 일인지. 몸이 폐허와 만나 나누는 대화.

오래전 태를 달고 어머니의 뱃속에서 익힌 소리들의 두근거림과 진동. 아버지와 어머니의 숨소리까지 배어든 모국어적 상상은 몸속을 서성거리다가 폐허에 와서 자음과 모음의 옷을 입고 외출한다. 그것이 폐허와의 대화이며 시의 시작이다.

폐~ 허~.

첫 음절 ‘폐’의 초성 무성파열음 ‘ㅍ’은 막혔던 입술이 터지면서 나는 소리다.

폐허의 터지고 밟히고 파괴된 흔적이 발음에 나타난다. 그리고 ‘허’의 초성인 ‘ㅎ’은 후음(목구멍소리)이다.

먹먹하게 벌린 목구멍에서 나오던 깜깜한 바람소리 ‘ㅎ’이 입 안에 잠시 머물다가 입 밖으로 새나오며 모음 ‘ㅓ’를 만나 ‘허~’ 하고 발음된다. 파괴된 곳의 허허로움이 ‘폐허’라는 말 속에 있다.

입술 모양과 목구멍 모양은 ‘폐허’의 자음 ‘ㅍ’과 ‘ㅎ’을 만들고, ‘폐허’의 모음 ‘ㅖ’와 ‘ㅓ’는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를 바탕으로 만든 문자 ‘·, ㅡ, ㅣ’를 합자한 것이니 폐허라는 글자와 발음에서 이미 몸과 천지자연이 조화롭게 한 마을을 이룬다.

모국어는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기호이기 이전에 어머니의 몸짓을 담은 진동이고 태어난 땅의 바람과의 공명이다. 모국어로 시를 쓴다는 것은 어머니에게 받은 몸으로 말하는 것이고, 몸에 기록된 역사적 기억의 서술이며 행복한 관습이다.

보르헤스(아르헨티나 시인)는 그의 시 ‘시학’에서 “나날의 일상에서 인간이 살아온/유구한 세월의 상징을 보고/세월의 전횡을 음악과/속삭임과 상징으로 바꾸어라”라고 했다. 세월의 전횡을 속삭임으로 바꾸고 싶은 것은 비단 시를 쓰는 사람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세월의 전횡을 온몸으로 받아들인 고통스러운 자들의 목소리가 시이면 어떻고 음악이면 어떻고 건축이나 미술이면 어떻겠는가.

‘음악’처럼 흐르는 몸의 상상을 ‘그림’ 그리듯 모국어로 ‘건축’한 것이 ‘시’일 텐데. 그리하여 폐허도 삶이 된다.

필자는 졸시 ‘폐허의 노래’에서 “덩굴은 바람의 손/죽은 자가 깨어나 벽을 더듬고 있다/버려진 개들이 떠나지 못한 영혼처럼 남아/골목을 서성거리고/부서진 벽 녹슨 철근들은/핏물 빠진 핏줄처럼 튀어나와/바람의 방향으로 끌려가고 있다/깨진 창문이 밤낮 주인 없는 빈방을 들여다보는 곳/건드리기만 해도 울음이 쏟아질 듯 기울어진 지붕 아래/중력을 이기기 못한 영혼이/천장에서 쏟아져 합판을 잡고 펄럭거린다”고 폐허의 삶을 노래했다.
2021-10-06 30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