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광장] ‘문인촌’ 은평에 국립한국문학관이 와야/김우영 서울 은평구청장

[자치광장] ‘문인촌’ 은평에 국립한국문학관이 와야/김우영 서울 은평구청장

입력 2016-06-12 23:20
업데이트 2016-06-13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우영 서울 은평구청장
김우영 서울 은평구청장
한 지역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거론할 때 그 지역의 자연지리적 환경과 인문·역사적 환경을 빼놓을 수 없다. 서울 서북 지역에 있는 은평구는 1000년의 명당으로 일컬어지는 삼각산(북한산) 기슭에 위치한다. 통일신라시대 대문호였던 최치원이 화엄사상의 10찰로 언급했던 ‘청담사’ 터가 발견됐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 3000명을 양성했던 고려 사찰 ‘삼천사’, 조선 최고의 문화대왕이었던 세종이 집현전 학자들을 위한 독서당을 세우고 성삼문, 신숙주, 박팽년 등이 한글 창제에 몰두했던 ‘진관사’ 등 우리 역사와 문화의 숨결이 남아 있다.

근대기에 해방과 6·25 전쟁 이후 삶이 팍팍할 때 많은 문인과 언론인이 은평에 모여 살았다. 폐허 속에서 그들은 꿈과 희망을 포기하지 않았다. 해방 후 상당수 문인이 모여 살기 시작해 ‘은평구’는 ‘서울 문인촌’(文人村)으로 불렸다. 1987년 문학지에 실린 문인주소록으로 집계를 내 본 결과 당시 서울에 거주했던 문학인 1428명 중 97명(서울시 22개 구 평균 거주 문학인 64명)이 은평구에 주소지를 두었다. 단순히 양적인 통계를 넘어 거대도시 서울 중에서도 은평구에 문인이 집중된 것은 이곳이 지니는 ‘문학적·공간적 특성’과 사회적 배경인 ‘가난’이란 이유가 있다.

역설적으로 은평은 경제·사회적으로 가난한 문인들이 터를 잡고 살기에 적합한 환경이었다. 1980년대까지 문학은 ‘분단’과 ‘계층’이란 현실 문제에서 분리된 적이 없었고, 작가들의 삶 또한 이를 바탕으로 했다. 이들은 소시민적 삶을 은평이란 현실 공간에서 체험했으며, 고스란히 작품의 무대로 삼았다. 소설가 이호철, 최인훈이 당시 금기였던 분단과 통일의 시각으로 ‘광장’, ‘남과 북’ 같은 역작을 집필했던 곳이 바로 은평이다.

또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기자들의 집단 거주지 ‘기자촌’과 1980년대 결성된 문인회 ‘은평클럽’은 지역 문인을 규합했다. 이런 모임은 1990년대 은평문인협회의 결성으로 이어져 한국문학의 명맥을 계승하고 있다.

은평은 1980~90년대 한국 근대문학의 중심이었다. 많은 문인이 은평을 고향으로 생각하며 터를 잡아 ‘문학’을 붙잡았다. 글을 읽고 쓰기 좋은 명당으로 조선 초기부터 주목받았던 삼각산은 여전히 현대문학의 터전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제 은평구는 문학의 요람, 통일문학의 중심지인 ‘기자촌’을 문학의 중심지로 발돋움시키기 위해 국립한국문학관 유치에 나섰다. 문학관이 들어서면 바로 옆에는 언론기념관을 건립해 언론·문학인을 위한 문학테마파크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이 마스터플랜에 은평 주민은 물론 옛 기자촌 이웃, 문인들도 힘을 보태고 있다.

전국 24개 기초자치단체가 국립한국문학관 유치를 놓고 경쟁한다. 은평구가 지리·역사·문화적으로 최적지다. 은평구는 역사·문화 유산 위에 국립한국문학관을 더해 서울의 문화 중심지가 되겠다.
2016-06-13 29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